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산업기술 국제협력 현황과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1-09-28
- 등록일 2011-09-30
- 권호
ㅁ요약
기술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기술 및 산업의 융합화가 확산되면서 기술을 아웃소싱하기 위한 협력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국내를 넘어 국가 간 협력으로 확대되면서 생산 및 판매 부문에서의 글로벌화가 R&D부문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국제분업구조의 변화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추격형에서 탈추격형으로 기술혁신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세계시장에서 기술리더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내협력은 물론 국제협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기술혁신 관련 국제협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매우 미흡하다. 과학기술혁신 역량지수 중 국제협력부문은 OECD국가들 중 15위이고, 상대적 수준은 12.1(1위 국가=100)로 미흡한 수준이다. 기술혁신활동을 위해 협력하는 기업 비중도 20% 정도로 낮고 이 중 국제협력 비중은 더욱 낮다. 정부지원은 정보제공 및 인력 교류를 위한 기반 구축, 국내 기업과 해외연구소, 대학, 기업 등과의 공동연구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국제협동연구를 수 행하고 있는 과제(건수)의 비중은 2.6%로 미미하고 하락 추세에 있다. 산업기술 국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국제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국제협력을 위한 환경 및 기반 조성, 대학 및 연구기관,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등에 정책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또한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고 협력 분위기를 조성하여 국가 간 지식 및 기술이전을 활성화해야 한다.
ㅁ목차
1. 머리말
2. R&D 글로벌화의 세계적 추이
3. 우리나라 산업기술 국제협력 현황
4. 우리나라 국제협력 관련 정부 지원
(1)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국제협력 현황
(2) 산업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주요지원
5. 시사점
기술발전 속도가 빨라지고, 기술 및 산업의 융합화가 확산되면서 기술을 아웃소싱하기 위한 협력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협력은 국내를 넘어 국가 간 협력으로 확대되면서 생산 및 판매 부문에서의 글로벌화가 R&D부문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국제분업구조의 변화속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추격형에서 탈추격형으로 기술혁신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세계시장에서 기술리더을 확보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국내협력은 물론 국제협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기술혁신 관련 국제협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매우 미흡하다. 과학기술혁신 역량지수 중 국제협력부문은 OECD국가들 중 15위이고, 상대적 수준은 12.1(1위 국가=100)로 미흡한 수준이다. 기술혁신활동을 위해 협력하는 기업 비중도 20% 정도로 낮고 이 중 국제협력 비중은 더욱 낮다. 정부지원은 정보제공 및 인력 교류를 위한 기반 구축, 국내 기업과 해외연구소, 대학, 기업 등과의 공동연구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국제협동연구를 수 행하고 있는 과제(건수)의 비중은 2.6%로 미미하고 하락 추세에 있다. 산업기술 국제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국제협력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국제협력을 위한 환경 및 기반 조성, 대학 및 연구기관,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등에 정책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또한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고 협력 분위기를 조성하여 국가 간 지식 및 기술이전을 활성화해야 한다.
ㅁ목차
1. 머리말
2. R&D 글로벌화의 세계적 추이
3. 우리나라 산업기술 국제협력 현황
4. 우리나라 국제협력 관련 정부 지원
(1)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의 국제협력 현황
(2) 산업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주요지원
5.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