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STEPI,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기술: 사회기술 - 특성과 정책과제 -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1-10-01
- 등록일 2011-10-06
- 권호
ㅁ개요
사회기술’은 보건복지ㆍ의료ㆍ교육ㆍ위생ㆍ환경ㆍ안전ㆍ개도국 지원 분야에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사용자 친화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재조합형 기술로 ‘사회적으로 유용한 기술(socially-useful technology)’, ‘社會技術’, ‘공익기술(public interest technology)’, ‘사회지향적 기술(society driven innovation)’, ‘대안기술(alternative technology)’,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 ‘소외된 90%를 위한 기술’, ‘수행되지 않은 기술(undone scienc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회기술은 사용자 친화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재조합형 기술로 사회의 니즈에 맞추어 기존 기술을 새롭게 재조합ㆍ재설계하고 서비스 전달체계와 연결시키는 방식을 통해 혁신활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도의 과학기술능력보다는 현장에 밀착된 문제 인식, 사용자 및 사회서비스 전달자와의 밀도 높은 상호작용,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ㆍ기술적 창의성이 필요하고 STI(Science-Technology-Innovation) 방식보다는 DUI (Doing-Using-Interacting) 방식의 혁신활동을 추구한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기술인 사회기술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10가지의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과제 1] 사회ㆍ기술문제 조사ㆍ분석 사업 추진
[과제 2] ‘사회적 가치 측정 지수’ 개발
[과제 3] 중간조직으로서 사회기술 혁신플랫폼 구축
[과제 4]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연구 Lab 설치
[과제 5] Living Lab의 도입 및 구현
[과제 6] 기술집약적 사회적 기업 육성
[과제 7] 시민사회조직-연구조직 공동연구사업 기획ㆍ추진
[과제 8] 사회기술개발과 사회정책관련 사업의 연계 강화
[과제 9] 사회기술 개발과 역행혁신의 연계
[과제 10] 사회기술상 제정(QoLT Award)
ㅁ목차
< 요 약 >
Ⅰ. 머리말 / 5
Ⅱ. 사회기술의 정의와 사례 / 6
Ⅲ. 사회기술 혁신의 특성과 주요 주체 / 10
Ⅳ. 정책과제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