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환경부, 환경분야 R&D 2,512억원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환경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10-12
  • 등록일 2011-10-12
  • 권호

환경부 예산, 2012년에 5조원 시대 개막

- 맑은 물, 녹색성장 등 미래 환경가치 실현에 중점 투자 -


 ◇ '12년 환경부 예산(안)은 전년 대비 3,738억원(7.8%) 증액된 5조 1,516억원(순계 기준)

  - MB정부 출범('08, 3조 5,515억원) 이후 46.1%(1조 6,001억원) 증가

  - 수계기금(8,164억원), 석면기금(145억원) 포함 시 총 재정규모는 5조 9,825억원

 ◇ 오염하천 중심으로 건강한 물환경 조성에 지속 투자

  - 전국 하천․호소의 수질․수생태계 회복에 2조 805억원 지원

 ◇ 녹색성장 분야는 가시적인 성과 창출 중심으로 투자

  - 전기차 보급 610억원(2,500대), 환경분야 R&D 2,512억원, 환경산업 육성 956억원, 생물자원이용 348억원 등에 지원

 ◇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 및 친서민 분야 지원 확대

  - 국립공원 등 생태서비스 확대 1,587억원, 환경보건 501억원, 기초생활수급자 노후 급수관 개량 (2,728가구) 등에 중점 투자



□ 저탄소 녹색성장 분야는 가시적인 성과창출 중심으로 집중 투자한다.

 ○ 온실가스 저감과 녹색 新시장창출을 동시 달성하고자 전기차 보급 기반(171억원, 800대 → 610억원, 2,500대) 구축에 중점 투자하고,

   - 글로벌 그린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책(458 → 582억원)도 적극 추진한다.

 ○ 세계적인 환경기술개발을 위한 R&D에 투자를 가속하고(2,355 → 2,512억원),

   - 동아시아 기후변화 모니터링 등을 위해 ’18년에 발사되는 복합위성의 환경탑재체 개발(25억원)도 내년부터 본격 추진한다.

 ○ 확실한 성과를 내고 있는 환경산업 분야(897 → 956억원)를 중점 지원하여, 세계 녹색시장을 주도해 나갈 경쟁력 있는 환경기업을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 또한, BT산업의 기반을 강화하고, 나고야의정서에 대응한 국가생물주권도 강화하기 위해 생물자원 이용․관리에도 투자를 확대(278 → 348억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자료를 참고해주세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