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EIT, PD 이슈리포트_(2011-8호)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11-04
- 등록일 2011-11-07
- 권호
ㅁ요약
Issue 1
□ 본 보고서는 서비스 로봇 및 로봇 융합산업 견인의 핵심인 HRI (Human-Robot Interaction)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위해 작성됨
[중요성]
ㅇ HRI(Human-Robot Interaction) 기술은 로봇이 사용자 의도를 판단하고, 적합한 반응과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인간과의 의사소통 및 상호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판단-표현 기술임
ㅇ HRI 기술은 서비스로봇의 상용화를 위해 확보해야할 핵심기술로 로봇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기술임
ㅇ HRI 기술은 시장 참여자와 기술 공급자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목표성능을 공유하고 효율적으로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여 실제 서비스에 대한대응력을 높인 시장지향의 개방형 HRI 기술(HRI2.0)로 발전
[추진방향]
ㅇ 기술 수요자와 기술 공급자간의 역할분담을 통해 공통핵심 HRI 기술 개발 및 소비의 밸류체인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 HRI 원천기술의개발은 연구소, 학계를 중심으로 추진하되, 산업계의 실현장 DB가 제공되어야 함
ㅇ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 중심의 HRI 원천기술 개발을 지양하고, 단일기능이 아닌 인식·판단·표현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
Issue 2
□ 농업·IT 융합 기술의 개요
ㅇ 오늘날 농업은 농산물의 생산, 가공, 판매, 유통 및 이를 위한 기계, 농약, 종묘 등 IT, BT, NT 등의 다양한 기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거대 산업임
□ 시장 전망
ㅇ 원예 선진국인 네덜란드, 일본, 미국 등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중이며 최근에는 식물공장 관련 시장이 주목을 받으며 급격히 성장할 전망
□ 국내외 연구 개발 동향
ㅇ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등 농업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문가시스템, 생장환경 분석 기술 등 신기술의 도입 및 상품화가 진행중
ㅇ 국내는 연구소, 기업, 학교, 지자체 등 다양한 기관에서 RFID/USN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 표준화 현황
ㅇ 관련 표준화는 시설 원예 및 식물공장 대상으로 2010년부터 IT기술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초기 수준이며, 향후 시설 전체에 대한 본격적 표준화 예상
□ 정부 지원 전략 및 시사점
ㅇ 농업·IT 융합 기술은 농업 관련 기술을 연구하는 연구개발자와 기존의 농업 기술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IT기술과의 융합을 고려해야 함
ㅇ 선진국 진입에 따라 증가하는 농업을 위한 생산, 유통, 가공, 교육, 서비스 등 다양한 농업IT 수요에 지혜로운 대처 필요
ㅇ 국내외 수입 및 수출 현황, 토양과 기후, 주력 및 선호 농산물, 실제 사용하는 농민을 충분히 고려한 다양한 환경 요소들의 특수성 이해를 통해 외산제품이 할 수 없는 한국형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상용화를 진행해야 함
ㅁ목차
Issue 1 인간로봇상호작용(HRI)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Issue 2 농업 · IT 융합 기술의 동향 및 전망
Issue 3 RFID기반 물류정보 동기화 기술 및 산업전망
Issue 4 이동통신 트래픽 증가와 주파수 확보 방안
Issue 5 광대역 가입자망을 위한 차세대 Optic 액세스 및 부품기술 현황 및 전망
Issue 1
□ 본 보고서는 서비스 로봇 및 로봇 융합산업 견인의 핵심인 HRI (Human-Robot Interaction) 분야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을 위해 작성됨
[중요성]
ㅇ HRI(Human-Robot Interaction) 기술은 로봇이 사용자 의도를 판단하고, 적합한 반응과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인간과의 의사소통 및 상호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판단-표현 기술임
ㅇ HRI 기술은 서비스로봇의 상용화를 위해 확보해야할 핵심기술로 로봇에 생동감을 부여하는 기술임
ㅇ HRI 기술은 시장 참여자와 기술 공급자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목표성능을 공유하고 효율적으로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여 실제 서비스에 대한대응력을 높인 시장지향의 개방형 HRI 기술(HRI2.0)로 발전
[추진방향]
ㅇ 기술 수요자와 기술 공급자간의 역할분담을 통해 공통핵심 HRI 기술 개발 및 소비의 밸류체인을 구축해야 하며, 이를 위해 HRI 원천기술의개발은 연구소, 학계를 중심으로 추진하되, 산업계의 실현장 DB가 제공되어야 함
ㅇ 실험실 환경에서 연구 중심의 HRI 원천기술 개발을 지양하고, 단일기능이 아닌 인식·판단·표현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
Issue 2
□ 농업·IT 융합 기술의 개요
ㅇ 오늘날 농업은 농산물의 생산, 가공, 판매, 유통 및 이를 위한 기계, 농약, 종묘 등 IT, BT, NT 등의 다양한 기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거대 산업임
□ 시장 전망
ㅇ 원예 선진국인 네덜란드, 일본, 미국 등을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중이며 최근에는 식물공장 관련 시장이 주목을 받으며 급격히 성장할 전망
□ 국내외 연구 개발 동향
ㅇ 네덜란드, 캐나다, 일본 등 농업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문가시스템, 생장환경 분석 기술 등 신기술의 도입 및 상품화가 진행중
ㅇ 국내는 연구소, 기업, 학교, 지자체 등 다양한 기관에서 RFID/USN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음
□ 표준화 현황
ㅇ 관련 표준화는 시설 원예 및 식물공장 대상으로 2010년부터 IT기술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초기 수준이며, 향후 시설 전체에 대한 본격적 표준화 예상
□ 정부 지원 전략 및 시사점
ㅇ 농업·IT 융합 기술은 농업 관련 기술을 연구하는 연구개발자와 기존의 농업 기술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IT기술과의 융합을 고려해야 함
ㅇ 선진국 진입에 따라 증가하는 농업을 위한 생산, 유통, 가공, 교육, 서비스 등 다양한 농업IT 수요에 지혜로운 대처 필요
ㅇ 국내외 수입 및 수출 현황, 토양과 기후, 주력 및 선호 농산물, 실제 사용하는 농민을 충분히 고려한 다양한 환경 요소들의 특수성 이해를 통해 외산제품이 할 수 없는 한국형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 및 상용화를 진행해야 함
ㅁ목차
Issue 1 인간로봇상호작용(HRI) 기술의 현황과 발전 방향
Issue 2 농업 · IT 융합 기술의 동향 및 전망
Issue 3 RFID기반 물류정보 동기화 기술 및 산업전망
Issue 4 이동통신 트래픽 증가와 주파수 확보 방안
Issue 5 광대역 가입자망을 위한 차세대 Optic 액세스 및 부품기술 현황 및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