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바이오화학산업의 현황과 과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11-01
  • 등록일 2011-11-14
  • 권호
ㅁ요약

최근 바이오화학산업은 지구가 당면하고 있는 지구온난화 및 화석연료고갈의 문제에 대응함과 동시에 새로운 기술 및 원료의 전환을 통해 화학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화학산업의 세계시장은 2020년까지 연평균 9%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향후 기존의 화학산업에 대한 대체비율도 점차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현재 바이오화학산업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부문은 바이오연료 부문이며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 에탄올의 성장이 두드러진다. 바이오 플라스틱 부문은 현재 시장규모는 작지만, 향후 기술 및 시장 측면에서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부문이다.

우리나라 바이오화학산업은 기술, 시장 측면에서 미국 및 유럽 국가에 비해 초기 단계에 있으며 발효기술 등 특정 분야를 제외한 기술수준도 낮은 편이다. 반면, 기존의 석유화학산업에서 구축된 시장 및 기술, 생산능력등은 향후 우리나라 바이오화학산업 발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향후 바이오화학산업 부문에서 성장해 나가기 위해서는 기술 및 시장 측면의 높은 불확실성에 대한 국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 기술개발의 불확실성에 대해서는 정부 기술개발 확대, 공공·학계와의 연구협력 활성화 등이 주요 대응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시장의 불확실성 해소를 위해 바이오연료 및 산업바이오 제품 사용 확대를 유인하는 정부 정책과 더불어 안정적인 바이오매스 공급원 확보 노력도 필요하다.



ㅁ목차

1. 서론

2. 바이오화학산업의 현황

(1) 산업의 구분

(2) 바이오연료 분야의 현황

(3) 석유·정밀화학 대체 분야의 현황

3. 바이오화학산업의 과제

(1) 우리나라 바이오화학산업의 위치

(2) 바이오화학산업의 과제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