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韓-中, 교육·과학기술 파트너십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1-11-23
  • 등록일 2011-11-24
  • 권호

-이주호 장관, 중국 과기부·교육부 장관과 잇따라 만나 협력방안 논의 



□ 한-중간 과학기술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CAMPUS Asia*, 초중등 교사교류 등 교육과학기술 분야의 협력이 한층 두터워질 전망이다.


     * 한중일 3국이 공동 추진하는 3국간 대학생 교류프로그램


□ 교육과학기술부는 이주호 장관이 11월23일부터 25일까지 2박3일간 중국 북경을 방문하여 ‘제11차 한-중 장관급 과학기술공동위원회’와 ‘한-중 교육장관 양자회담’에 참석하고 양국간 교육과학기술분야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제11차 한-중 장관급 과학기술공동위원회-


󰏚 교육과학기술부와 중국 과학기술부가 매2년마다 번갈아 개최하는 ‘한-중 장관급 과학기술공동위원회’는 11월23일 북경 더블트리힐튼 호텔에서 열리며, 양국간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발전방안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 양국은 우선 2009년부터 매년 공동으로 신규 과제를 선정하고 있는 ‘한중 공동연구프로그램’의 2011년 선정 과제 추진방안 및 2012년 신규 과제를 선정할 중점협력분야*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다.


     * 2011년 중점협력분야 : IT, 위성활용, 항공우주과학, 핵융합에너지2012년 중점협력분야(안) : 신소재/나노소재, 신재생에너지/스마트그리드, 생물기술

 ❍ 이어 지난 ‘93년부터 양국이 지속 추진해오고 있는 한중 공동연구센터* 사업을 통한 협력을 강화하고 신소재, 소형위성 등 2개 분야의 신규센터를 설립하는 방안도 논의할 예정이다.


     * 한중 공동연구센터 : 공동연구, 인력교류, 포럼/세미나, 산학연 협력 등 해당 분야 양국 연구협력의 거점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 사막화방지생명공학(생명연)/고에너지밀도레이저물리(원자력연) 등 2개 공동연구센터 운영 중


 ❍ 한편, 기존 공동연구 사업 외에도 양국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분야에서 새로운 협력 과제도 추진된다.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시설인 중이온가속기 구축과 관련하여 이미 난저우 중이온가속기를 구축․활용하고 있는 중국과의 관련 전문인력 교류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며,


   - 핵융합 장치 운전경험이 우리보다 앞선 중국과의 협력 강화를 위해 미국․일본․EU에 이어 중국과도 정부간 핵융합 연구협력 이행약정을 체결할 계획이다.


 ❍ 또한, 지난 94년부터 운영중인 한중 신진과학자 교류프로그램도 변화된 환경에 맞도록 교류분야를 확대하고, 상호 동등한 수준의 비용을 분담*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 현재는 우리나라가 한국과 중국 과학자 모두의 체재비를 지원하고 있으나, 양측이 동등하게 비용을 분담하여 초청국에서 상대국 과학자의 체재비를 부담하도록 개선


 ❍ 마지막으로, 양국은 수교 및 과학기술협력 20주년(2012년) 계기 양국간 과기협력 증진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한중 과학기술혁신포럼, 중국 과학자 대표단 방한 등 내년으로 예정된 다양한 기념행사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