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한-아세안 과학기술협력 본격화 추진 계기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1-12-07
- 등록일 2011-12-12
- 권호
제6차 ASEAN+3 과기위원회 및 제1차 한-아세안 공동위원회 개최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 이주호)는 제6차 ASEAN+3 과학기술위원회(이하, ASEAN COST+3)*를 2011.12.6(화) 제주(롯데호텔)에서 개최**하였다고 밝혔다.
* The 6th ASEAN COST(Commitee Of Science and Technology) +3
- ASEAN+3 : ASEAN 10개국(브루나이,캄보디아,인도네시아,라오스,말레이시아,미얀마,필리핀,싱가포르,태국,베트남) + 3개국(한·중·일)
** 공동의장 : 한국 교육과학기술부 국제협력관 서유미 , 베트남 과학기술부 국제협력국장 Dr. Mai Ha
○ ASEAN COST+3는 ASEAN+3 정상회의(1999, 필리핀 마닐라) 당시 동아시아의 경제성장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과학기술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정상들의 합의를 바탕으로 발족된 ASEAN+3 국가 간 과학기술분야 고위관료 회의이다.
- 2006년 제1차 말레이시아 회의를 시작으로 아세안과 +3(한중일) 양측이 매년 번갈아가며 개최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개최*되었다.
* 제1차(‘06,말레이시아), 제2차(‘07,일본), 제3차(‘08,말레이시아), 제4차(’09,중국), 제5차(‘10,태국)
□ 금번 회의를 통해 아세안 10개국 및 한중일 각국은 기후변화, 재해위험감소, 바이오에너지 등 국제사회의 공동해결 노력이 긴요한 글로벌 이슈를 중심으로 아세안+3 역내 협력방안에 관해 다양한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 특히, 우리나라는 'ASEAN+3 과기영재센터 사업‘ 운영경과 보고를 통해 한국이 단기간의 경제성장과 과학기술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핵심 원동력은 창의적인 과학인재 양성에 있었음을 밝히고,
○ 더 나아가 아시아의 공동번영을 위한 역내 우수 과학영재들의 교류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의 발전 노하우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아세안 회원국들의 적극적 지지를 확보하였다.
□ 한편,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보다 앞선 12.5(월)에는 ‘한-아세안 과학기술협의회’를 개최하여 ‘한-아세안 과학기술공동위원회(이하 과기공동위) 설립·운영 방안’에 대한 실질적 합의를 도출하였다.
○ 이는 최근 일본, 중국, 미국 등 강대국들의 동남아 주도권 경쟁이 치열해 지는 상황에서 이명박 대통령의 신아시아 외교구상 발표(2009) 및 한-아세안 전략적 동반자 관계 격상(2010)등을 통해 본격화 된 아세안과의 과학기술협력을 가속화 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한 것이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금번 ‘제6차 ASEAN COST+3’ 개최 및 ‘한-아세안 과기공동위’ 설립 등을 계기로 향후 아세안 사무국 등과의 긴밀한 협조 등을 통하여 한-아세안 간 공동연구 및 인력교류 활성화 등 협력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함으로써,
○ 우리나라의 두 번째 최대교역 지역이기도 아세안과의 상호협력과 동반성장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