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국가전략산업 표준화 로드맵 확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1-12-08
- 등록일 2011-12-12
- 권호
□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원장 허경)은 ’11.12.8(목) 코엑스에서 미래성장 산업분야의 기술·표준 추진 방향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기 위한 “8대 국가전략산업 표준화 로드맵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 8대 분야 : 스마트그리드, 전기자동차, 원자력, 3D산업, 클라우드컴퓨팅,
스마트미디어, 스마트물류, 스마트의료정보
ㅇ 기술표준원은 국제협력을 통한 우리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민간 전문가의 역량을 활용한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제도를 지난 4월부터 추진하고 있다.
ㅇ 국가표준코디네이터는 국가 R&D와 표준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발된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통한 산업화 촉진을 추진하고 있으며, 본 발표회도 국가표준코디네이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행사이다.
□ 본 행사는 국가표준코디네이터가 관련분야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개발한 표준화 로드맵을 대외에 처음으로 공개하는 자리로,
ㅇ 전략산업분야 표준화는 정부간 표준협력보다 기업간 표준협력을 유도하여 국내 산업계 중심의 민간 역량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ㅇ 국내기업 단독으로 국제표준화에 대응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국제표준의 공동 제안을 통해 글로벌기업과 연합 전략을 세워 세계 시장을 공략 할 계획이다.
□ 이번 행사에는 R&D 전략기획단 황창규 단장을 비롯, 8대 분야에 600여명의 기술․표준 전문가 및 일반인들이 참여하여,
ㅇ 최근 업계에서는 표준화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으나, 장기간 투자가 필요하여 국제표준 전문인력 양성과 국제표준화 정보 제공 등 표준인프라 구축이 시급하고,
ㅇ 로드맵에서 제시한 표준화를 추진하기위해서는 현재의 표준화 예산을 대폭 확충하여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본 로드맵 발표회는 향후 국가 R&D, 표준, 적합성, 특허를 함께 연계하는 큰 그림을 그려나가는 첫 단계가 될 것”이라고 언급하고,
ㅇ “산업계가 국제표준화에 적극 참여한다면, 우리나라가 글로벌 표준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여 무역 2조불 시대를 앞당기는 시금석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