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농식품부, 축산분야 R&D 추진체계 효율화 논의의 장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농림수산식품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12-13
  • 등록일 2011-12-14
  • 권호

 농림수산식품부는 한-EU․한-미 FTA 대응, 지속 가능한 축산업 실현을 위해 축산분야 R&D 추진체계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학계, 업계, 연구기관, 생산자단체 전문가 등으로 “미래축산포럼”을 구성하여 축산분야 R&D 추진방향 설정 및 과제 발굴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 미래축산포럼은 5개 분과(생산성향상, 친환경축산, 식품가공, 질병방역, 신성장동력)로 구성하며, 분과별 전담직원을 운영하고 분기별로 개최할 예정이다.


 그동안 축산분야 R&D 추진('11년 573억원, 농식품분야 R&D예산 6,272억원의 9.1% 수준)은 농식품부(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진청 등 기관별로 각기 추진되고 있었으나,

 ❍ 각 기관별 연구과제 추진시 기술수요자가 직접 개별적으로 참여하고 있어 축산분야 전문 R&D 기획이 곤란하고 정책 현안에 대한 논의 및 관련 연구과제 검토가 체계적이지 않았다.

① 농식품부는 이번에 구성된 포럼에서 축산분야 R&D의 조직적 기획을 통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 그동안 추진된 축산분야 R&D 추진 내용, 기술개발 수준, 활용도, 추진과제와 연계된 향후 추가 기술개발 수요 등을 조사ㆍ분석

 ❍ 농진청 등 관련기관 중장기 기술개발과제 등과 연계하여 축산분야 기술개발 과제를 효율적으로 추진

② 미래축산포럼에서 논의된 기술개발과제가 우선적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기관별 협조체제를 구축

 ❍ 미래축산포럼에서 검토ㆍ논의된 기술개발과제는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연구기관 기술 수요조사 시 수시 제출

 ❍ 또한, 기관별 연구과제 선정 시 포럼 회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


 미래축산포럼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 분과별 전담직원 및 포럼위원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개최(12월 14일)하고, 포럼 운영방향에 대해 사전 실무 협의한다.


 농식품부는 미래축산포럼 운영을 통해 과거와 달리 체계적인 축산분야 R&D 추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 실현에 일조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