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2020년까지 자원개발 분야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전략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1-12-19
- 등록일 2011-12-19
- 권호
- 「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수립 -
① 8대분야 / 26개전략품목 / 84개핵심기술 선정, 기술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대폭 향상
-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 광물분야 51%(‘11년) → 86%(‘20년), 석유가스 분야 44%(‘11년)→ 76%(‘20년)
② 5대 추진 전략 제시, 2020년까지 정부 투자 5,000억, 민간 투자 2,700억 계획
□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는 기술력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자원개발(석유가스, 광물) 시장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자원개발 분야 중장기 R&D 이정표인「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을 수립함
ㅇ 이번 로드맵에서 우리나라가 중점적으로 개발해야 할 핵심기술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확보하기 위한 추진 전략, 핵심기술별 R&D 로드맵을 제시함
ㅇ 로드맵 수립을 위해 ‘11.2월부터 약 10개월간 총 70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특히 민간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해 참여 전문가 40%를 산업계로 구성하였으며 설명회, 공청회 개최를 통해 업계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수립하였음
□ 그간 정부는 과감한 투자를 통해 단기간에 자주개발률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고 자원개발 공기업을 대형화하는 등 자원개발 분야의 양적 성장을 이루었으나 기술력 확보 등 질적인 성장을 위한 지원에는 미흡했음
ㅇ 신재생, 전력 등 타 에너지 분야와 비교해 볼때, 자원개발 분야는 R&D 투자 기간 및 재원이 부족했으며 전략성도 미흡했음
* 에너지 분야 투자 비중: 자원(3.9%), 신재생(34.6%), 전력(32.9%), 에너지효율향상(22.8%), 온실가스처리(3.8%), 자원순환(1.4%), 방사성폐기물(0.6%)
ㅇ 반면, 최근들어 기존 자원 고갈 및 고유가 지속으로 자원확보를 위해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심해저/극한지 개발이 증가하는 등 자원개발에서 기술력 확보가 더욱 중요해 질것으로 전망됨
□ 정부는 향후 안정적인 자원확보 및 자원개발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기술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아래 국가적 차원의 기술개발 전략 및 방향 제시를 위해「자원개발기술 전략로드맵」을 수립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