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기상관측,예보기술의 동향 및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1-12-19
  • 등록일 2011-12-21
  • 권호
ㅁ요약

1. 개념과 범위



ㅇ기상기술은 기상(氣象), 지상(地象) 및 수상(水象)에서 일어나는 각종 기상현상을 관측·분석·예보하는 기술로서, 기압·기온·강수량·증발량·바람·조시간 등을 다양한 기상관측장비(레이더, 위성 등)로 관측하고 이를 모델링 기법으로 분석·예측하는 기술을 의미함

- 기상예측기술은 단기간(시간, 일, 주단위 등)에 발생되는 기상현상인 반면, 기후예측기술은 일정기간 특정 지역에서의 대기 평균상태(통상 30년)를 의미

- 기상예측기술은 대기예측모델을 사용하는 반면, 기후예측기술은 대기, 해양, 화학과정 등의 상호관계가 고려된 모델을 사용



ㅇ기상기술은 크게 기상관측, 기상예보, 기상산업기술로 분류되며, 국내 기상기술력은 선진국에 근접한 수준

- ’ 10년 국내 기상기술력은 세계 9위 수준이며, 기상예보 정확도는 89.0% 수준

- 하지만 위험기상 경감을 위한 사전예방 능력은 여전히 미흡



2. 국외 동향

ㅇ미국, 영국 등 기상선진국은 기상위성발사, 해양기상관측 및 지상관측망 확충 등을 통해 기상관측기술의 고도화를 추진 중

- 미 해양대기청은 2015년 발사를 목표로 GOES-R*시리즈를 개발 중이며, 영국 및 일본 기상청도 위성관측연구에 중점 투자할 계획

- 미국 레이더 운영센터는 기상데이타의 품질제고를 위해 이중편파 레이더를 WSR-88D* 프로그램에 설치 중이며, 일본 기상청은 도플러 레이더를 교체 중

                                    * WSR-88D : Weather Surveilance Radar1988 Doppler



ㅇ기상분석 및 예보기술의 선진화를 위해 기상선진국은 다양한 기상분석 시스템을 개발·운용 중

- 전 세계적으로 수치예보모델 개발을 위해 4차원 변분법(4D-Var)과 앙상블 칼만필터를 주로 사용하고 있음

- 미국 대기과학연구소는 Auto-Nowcaster System, 일본 기상청은 ADESS 및 NAPS 시스템을 운영 중



3. 국내 동향

ㅇ기상용 슈퍼컴퓨터 3호기 도입, 영국 통합모델 도입 및 현업운용, 천리안 위성정보 산출 등 기상예보 정확도 개선을 위해 노력 중

- 또한 독자수치모델개발, 천리안위성 후속위성개발 등을 통한 국내 기상기술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R&D사업을 추진 중



ㅇ’09년 기상기술 R&D 투자규모는 450억원이며, 기상청 중심으로 투자 중

- 기상위성 분야 투자규모가 총 투자의 57.3%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사업예산규모가 60억원 이하로 추진 중

ㅇ기상기술개발의 연구수행주체는 크게 국립기상연구소, 국가기상위성센터와 기타연구기관(대학, 출연연 등)으로 구성

- 국립기상연구소, 국가기상위성센터는 기상기술의 실용화·현업화 중심이며, 기타 연구기관은 기상청에서 사업화·실용화로 활용 가능한 목적기초연구에 투자



4. 주요이슈 및 시사점




































분야 주요 이슈 시사점
정책분야 • 중장기 계획간 연계성 부족 • 타부처 중장기계획과의 연계강화 및

국과위 사전검토 기능 강화 필요
• 기상인력정책 부족 • 기상인력 실태조사 및 수급계획 수립 필요
R&D분야 • 기상기술의 중요성 대비 R&D

투자 미흡
• 수치예보 모델개발, 위성개발 등 기상기술

자립화를 위해 정부의 체계적인 예산지원 및

타부처 연계를 통한 기상 R&D투자 규모

확대 필요
• 소규모·산발적 사업구조 • 소규모 신규사업을 별도 추진하기 보다는

유사목적사업 통합 및 대형화 추진 필요
• 기술개발 획득전략 미흡 • 대내외 협력 강화 및 다학제 중심의

융복합 연구 확대
• R&D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다수

설립 및 운영
• (단기) 명확한 역할분담 실시

• (장기) 예산규모 및 기능을 고려하여

창구의 일원화 필요





ㅁ목차

요 약

1. 개요

2. 국외 동향 및 환경변화

3. 국내 동향 및 환경변화

4. 주요 이슈

5. 시사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