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기본계획(’12~’16)』 확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1-04
- 등록일 2012-01-06
- 권호
-KSTAR와 ITER를 활용한 핵융합 기반기술 연구개발 본격 추진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향후 5년간('12~'16)의 핵융합 에너지 개발 추진계획을 담은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기본계획('12~'16)(안)」을 심의·확정(국가핵융합위원회 서면심의)하였다.
※핵융합 기본계획은 핵융합에너지 연구개발 촉진을 위해「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법」에 따라 '07년부터 5년마다 수립·추진
□ 이번에 확정된 「제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기본계획('12~'16)」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가 핵융합에너지개발 로드맵」의 2단계 목표 재설정
- 그간의 성과와 기술·환경변화를 반영하고, 핵융합 에너지 개발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3단계*로 구분된「국가 핵융합에너지개발 로드맵」중 2단계('12~'21)의 정책목표를「DEMO 플랜트 기반기술 개발」로 재설정**하였다. (2페이지 그림 참조)
* 1단계: '07~'11(5년), 2단계: '12~'21(10년), 3단계: '22~'36(15년)
** 기존 2단계 정책목표: 핵융합에너지 기술 5대 강국 진입
- 이는「로드맵」의 2단계('12~'21)가 1단계('07~'11)의 ‘추진기반 확립’과 3단계('22~'36)의 ‘핵융합 발전소 건설능력 확보’를 정책적·기술적으로 긴밀히 연결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 2차 핵융합 기본계획('12~'16)의 정책목표 및 4대 전략
- 금번 2차 기본계획의 정책목표는「KSTAR와 ITER를 활용한 핵융합 기반기술 연구·개발」로 설정하였다. 이는 현재 추진 중인 KSTAR 연구와 ITER 사업의 결과가 DEMO 플랜트 기반기술 및 향후 상용로 개발로 긴밀히 연계되도록 하기 위한 조치이다.
* Korea Superconducting Tokamak Advanced Research: 차세대초전도핵융합연구장치
* International Thermonuclear Experimental Reactor: 국제핵융합실험로
- 이러한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16년까지 다음의 4대 중점 전략(9대 과제: 붙임 1)을 중심으로 핵융합 정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전략 1) KSTAR의 50초 이상 운전제어 기술 확보, ITER 비조달 핵심기술 확보 및 TBM* 프로그램 본격 참여 등을 통해 DEMO 기반기술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 Test Blanket Module: 증식블랑켓의 주요기능(에너지 추출, 삼중수소 증식)을 실제 핵융합 환경인 ITER 장치에서 실험하기 위한 모듈
(전략 2) 거점·특화센터 등을 통한 핵융합 기초·원천연구 및 인력양성 기능을 활성화하고, 플라즈마 이론·시뮬레이션 연구를 강화하여 핵융합 연구 기반을 확대해 나간다.
(전략 3) 장기간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핵융합 분야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ITER 국제기구 인력파견 확대를 통해 ITER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 나갈 계획이다.
(전략 4) 핵융합·플라즈마 파생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장기간 대규모 투자에 대한 공감대 확보를 위해 눈높이형 핵융합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대국민 커뮤니케이션도 강화한다.
○ 2차 기본계획 기간의 주요 성과목표
- KSTAR의 플라즈마 전류 및 유지시간을 1MA 전류에서 50초 이상(H-mode*) 유지시켜 향후 DEMO 및 상용로 개발에 필요한 300초 이상 플라즈마 달성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 토카막형 핵융합장치 운전에 있어 특정 조건 하에서 플라즈마 밀폐성능(에너지 가둠)이 약 2배로 증가하는 현상
- ITER 인력파견(Professional급)은 현재 21명에서 28명으로 확대하고, ITER 및 타 회원국으로부터의 기술용역 및 제작 수주도 1,000억 원 이상(‘11년까지 432억원)으로 대폭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교과부는 확정된 「2차 핵융합에너지개발진흥기본계획('12~'16)」에 따라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참고로 이번 제5회 국가핵융합위원회에서는 「ITER 블랑켓 시험모듈(TBM) 추진계획」도 함께 확정되어 내년부터 실제 핵융합환경을 제공하는 ITER 장치에서 증식블랑켓*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ITER TBM 프로그램에 본격 참여하게 된다.
* 증식블랑켓: 핵융합로 노심을 둘러싸고 있는 장치로, 핵융합 반응의 연료인 삼중수소 증식, 에너지 변환·추출, 방사선 차폐의 3대 기능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