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노후 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 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1-12-13
  • 등록일 2012-01-06
  • 권호

ㅁ 요약

ㅇ 산업단지는 성장거점으로서 제조업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하였으나, 선진국 혁신 클러스터에 비 해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평가

  - 산업단지 내 생산액은 2009년에 전국 제조업 생산액의 62.0%, 수출액은 2010년에 전체 수출의  73%를 차지

 - 대덕과 구미 산업단지조차 주요 선진국 클러스터에 비해 경쟁력이 낮은 상태여서 노후한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경쟁력 제고가 시급


ㅇ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의 59개 노후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혁신잠재력 및 인프라 관련 20개 지표를 이용하여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경쟁력 유형별 경쟁력강화 방향을 도출

  - 유형Ⅰ(혁신잠재력과 인프라 수준이 모두 높은 단지)과 유형Ⅳ(혁신잠재력은 높으나 인프라 수준이 낮은 단지)는 인프라 개선이 중요

· 특히 수도권 단지는 혁신역량은 우수하나, 인프라가 열악한 상황

 - 유형Ⅱ(혁신잠재력은 낮으나 인프라 수준은 높은 단지)와 유형Ⅲ(혁신잠재력과 인프라 수준이 모두 낮은 단지)은 혁신잠재력의 제고가 중요


ㅇ 노후 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경쟁력 유형별로 차별화된 정책방안을 모색할 필요

 - 유형Ⅰ : 고부가가치 산업의 집적을 위해 업종구조 고도화, 용지가격 인하, 인적자원 강화 등의 정책이 필요

 - 유형Ⅱ : 기술검증지원센터의 설치, 종합비즈니스센터의 구축, 용지가격 인하 등의 정책이 필요

 - 유형Ⅲ : 혁신잠재력 제고와 인프라확충 정책을 함께 추진할 필요

 - 유형Ⅳ : 용지가격 인하, 우수한 인적자원 확보, 교통접근성 제고 등의 정책이 필요



ㅁ 목차

- 산업단지는 국민경제를 이끄는 성장동력 역할

- 우리나라 산업단지 경쟁력은 해외 클러스터에 비해 낮은 수준

- 혁신잠재력 및 인프라 중심의 경쟁력 평가지표 및 대상단지 선정

- 산업단지의 분포와 경쟁력 유형 구분

- 산업단지 유형별 정책과제와 우선순위

- 정책과제별 사업추진 방안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