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2-01-16
  • 등록일 2012-01-16
  • 권호

-전국 65개 대학에 공학교육혁신센터 설치, 창의·융합형 공학인재 및 글로벌 탑 공과대학 배출을 위한 공학교육혁신 본격화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공학교육의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고, 창의·융합형 공학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2단계(’12~’21)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은 산업계의 수요를 반영한 공학교육혁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수요 지향적인 공학교육시스템을 구축하고, 대학간 상호교류 및 벤치마킹을 통한 교육의 전반적 질적 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2007년부터 추진되었다.


    ※ 1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07~’11)」을 통해 전국 4년제 공과대학에 60개 공학교육혁신센터, 5개 공학교육혁신거점센터, 2개 이공계융합교육연구센터 및 10개 전문대학에 공학기술교육혁신센터 설치·운영 중


□ 2단계 사업에서는 공학교육 프로그램 고도화, 산업체 참여 및 협력 활성화, 체계적 성과 관리 및 확산의 3대 전략을 추진하여 공학교육혁신센터의 기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 첫 번째로, 공학교육혁신센터가 해당 대학 특성에 맞는 자율특화과제와 캡스톤디자인, 현장실습 등 공통필수과제를 포함한 장기 발전전략을 수립·운영토록 할 예정이다.


 ○ 또한, 공학교육혁신센터 내 산학위원회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산학교류를 활성화하고, 매년 ‘공학페스티벌*’을 개최하여 성과를 확산하고 취업으로까지 연계되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 공학페스티벌 : 전국 공과대학생들이 출품한 공학설계 작품 중 우수작품 시상 및 창업상담, 채용박람회 등으로 구성하여 매년 개최할 계획


□ 교육과학기술부는 ’12년도에 65개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선정·평가를 도입하여 하위탈락 시행


○ 또한,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을 통해 산업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창의·융합형 우수 인재가 양성되고, 글로벌 탑 수준의 공학교육 시스템이 정착될 것을 기대하고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