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IT기술진흥에 총 9,560억원 투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1-17
  • 등록일 2012-01-19
  • 권호

- IT융합 확산 및 SW경쟁력 강화에 집중


□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는 정보통신진흥기금과 일반회계 등을 재원으로 하는「2012년도 정보통신기술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1월부터 본격 추진 한다고 밝혔음


   * 시행계획 수립근거 :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7조


 ㅇ 본 시행계획은 IT기술진흥을 위해 기술개발, 인력양성, 표준화, 기반조성 등 4대 부문에 대해 2012년 IT분야 사업을 총 망라한 계획임


□ 2012년도 IT기술진흥을 위해 총 9,56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계획으로 '11년도 대비 2.1%(198억원) 증액됨


 ㅇ IT기술진흥의 主재원인 정보통신진흥기금 예산외에 광특회계 등에서 전년도에 비해 대폭 증액된 재원을 확보함에 따라 전체 IT기술진흥 예산은 증액됨


 ㅇ 예산이 증가한 부문으로는


  - SW전문인력양성사업 예산이 대폭 증가한 인력양성 부문이 전년도 904억원 대비 10.2% 증가(996억원)함


  - 기반조성 부문도 '12년도 4개의 신규사업* 추진 등으로 전년도 2,200억원 대비 15.8%(2,548억원) 증가함


   * '12년 기반조성 신규사업 : SW자산재개발(60억원), SW-시스템반도체 융합경쟁력 강화(70억원), 초광역연계 3D융합산업융성(90억원), 실감미디어산업 R&D기반구축(30억원)


 ㅇ 기술개발 부문은 정보통신진흥기금의 재원감소 전망에 따라 전년도 대비 3.9% 감소한 5,936억원을 편성하였지만,


  - '12년도 기술개발 재원중 288.5억원*이 출연(연) 지원사업으로 이관되었음을 감안하면 전년도에 비해 감소한 수준은 아님


   * '12년도 일반회계 묶음예산 총 288.5억원(IT융합 152억원, RFID/USN 등 136.5억원)을 ETRI 출연예산으로 이관                                                                                

 



                                                              <사업부문별 투자규모>                                                                          

                                                                                                                                 (단위 : 억원, %)
































































구 분



2011년


(A)



2012년


(B)



증감(B-A)



금액



비율



□ 기술개발



6,173



5,936



△237



△3.9



ㅇ IT산업원천 기술개발



5,354



5,015



△339



△6.3



ㅇ 단기․상용화 기술개발



819



921



102



12.4



□ 인력양성



904



996



92



10.2



□ 표준화



85



80



△5



△5.9



□ 기반조성



2,200



2,548



348



15.8



합 계



9,362



9,560



198



2.1




* 9,560억원 = 정보통신진흥기금 6,890억원 + 일반회계 2,132억원 + 광특회계 378억원+ 에특회계 55억원(신규) + 전력기금 105억원(신규)


□ 2012년도 IT기술진흥 추진방향은


 ㅇ IT융합을 산업전반으로 확산하기 위하여 산업별 맞춤형 확산전략과 IT융합 핵심역량을 강화하고,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SW분야 R&D 투자 등을 통한 SW기초역량 제고에 중점을 둠


 ㅇ 아울러, 신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원천기술 개발 및 부품ㆍ소재의 국산화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미래수요 변화와 융합 신시장을 주도할 고급인재를 육성하기로 함




□ 부문별로 보다 구체적인 추진방향을 살펴보면


① IT융합이 산업전반에 뿌리를 내리도록 산업별 맞춤형 확산전략과 핵심역량 확보에 주력하기 위하여


ㅇ 기존 주력산업외에 복지, 민원 등 다양한 생활밀착형* 분야로 IT융합 대상산업을 확대하고, IT융합의 핵심역량인 SW,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임


    * 지능형 홈서비스, 지능형 질병/오염 관리, 지능형 영상분석, 자율 재난 방재 시스템, LED시스템조명 기술, 공인전자문서 중계제도 도입 등

    * SW-시스템반도체융합경쟁력 강화 : ‘12년(신규) 70억원

    * 시스템반도체 상용화 기술개발: ‘11년 150억원→ ’12년 212억원 (41% 증가)


② SW산업의 핵심역량 확보를 위해 우리나라가 지닌 HW적 강점과 결합한 시스템SW 핵심기술 및 융합SW핵심기술 등 SW산업 원천기술분야 연구를 강화하고


    * 맞춤형 정보서비스, 소셜네트워크 등 지능형 SW 핵심기술 개발, 뉴메모리, 빅데이터 등 차세대 디바이스 및 클라우드 시장 주도 시스템 SW 핵심기술 확보 : ‘11년 312억원 → ’12년 396억원 (27% 증가)


 ㅇ 기 개발된 SW기술자산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SW를 재개발하고 DB화시켜 SW기술거래를 활성화 시킬수 있는 SW뱅크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기로 함('12년 신규 130억원)


    * SW기술자산 : SW IP, 소스코드, 모듈, 개발 노하우


③ 핵심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미래 신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ㅇ '12년도 IT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는 분야별 12명 IT분야 PD들이 발굴ㆍ기획한 과제들에 대해 목표검증단의 검증을 거친 92개 원천기술에 대해 기술개발을 추진하기로 함(신규예산 총 1,480억원)


    * 정보통신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 ‘11년 5,354억원 → ’12년 5,015억원




 ㅇ 한편, 기술개발을 통한 국산화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시장규모가 큰 휴대폰, D-TV, 자동차용 시스템반도체 상용화 기술개발 및 IT핵심부품ㆍ소재 분야 기술개발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함


    * 시스템반도체상용화 기술개발 : ‘11년 150억원 → ’12년 212억원

    * 10G급 DWDM 광트랜시버, 40G급 광송수신 모듈, 반도체/디스플레이 공동 식각/세정/측정 장비, AMOLED 핵심소재 및 재료 등 기술개발


④ 인력양성 사업은 미래수요 변화와 융합 신시장을 주도할 창의융합형 고급인재 양성에 주력하며


    * 인력양성 총예산 996억원중 고급인력양성 예산이 전체예산 66.3% 비중(661억원)


 ㅇ 특히, SW인재 양성을 위해 '12년도에는 리더급 SW인재를 양성하는 SW특성화 대학 및 대학원 신설, 해외 SW인재를 초빙하는 브레인 스카우팅 제도를 신규로 추진하기로 함


    * SW전문인력양성 : ‘11년 80억원 → ’12년 170억원 (112% 증가)


□ 지식경제부는 정보통신기술진흥 시행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1.18(수)부터 홈페이지에 동 시행계획을 공고함


 ㅇ 이러한 시행계획 추진방향을 바탕으로 세부사업별로 추진계획을 수립․시행할 계획이며, 먼저 IT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신규과제에 대해 1.20(금) 공고할 계획임을 밝혔음


 ㅇ '12년도 IT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신규과제 예산규모는 총 1,480억원으로 1.20(금) 신규과제 공고한 후, 3월말까지 사업계획서를 접수하고 5월까지 평가를 거쳐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임


  -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20(금) 지경부 홈페이지 및 전담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에 별도 공고할 예정으로, 신규과제에 지원하고자 하는 사람은 이를 참조하도록 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