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에 1,437억원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1-20
  • 등록일 2012-01-20
  • 권호

- 2012년 산업융합원천기술사업(신산업·정보통신산업 분야) 신규과제 공고

- 1월20일부터 3월29일까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홈페이지 통해 접수



□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는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신산업·정보통신산업 분야)’에 총 1,437억원을 지원함


 ㅇ 동 사업은 지식경제부의 대표적 중장기 R&D사업으로 신산업  세부사업(로봇, 바이오, RFID/USN, 산업융합기술)과 정보통신산업 세부사업(전자정보디바이스, 정보통신미디어, 차세대통신네트워크, SWㆍ컴퓨팅, 디지털콘텐츠) 분야 99개 과제에 지원하며 지원기간은 과제별 특성에 따라 3년부터 5년까지임




□ 금번 지원은 신청자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사업계획서 작성이 용이하도록 공고기간을 과제 유형에 따라 최대 90일까지 확대 하였음


 ㅇ 공고기간 70일 : 2012. 1. 20(금) ~ 2012. 3. 29(목)

    - (일반형 과제) 총 1개 과제로 구성되어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이 공동으로 수행하는 과제

    - (병렬형 과제) 총괄, 세부과제가 각각 단독으로 신청하여 총괄, 세부과제 단위로 경합 평가하여 선정된 세부주관과 총괄주관기관간의 협약체결 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과제

       ※세부과제의 기술개발 결과가 독립적으로 사업화 또는 상품화 가능

 ㅇ 공고기간 90일 : 2012. 1. 20(금) ~ 2012. 4. 18(수)

    - (통합형 과제) 총괄과제와 세부과제의 컨소시엄으로 구성하여 공동으로 수행하는 과제

      * 세부과제의 기술개발결과가 상호연계되어 사업화 또는 상품화


    -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사업에 참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준비기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통합형 과제는 90일로 하여 신청자의 편의를 도모


□ 지원할 기술분야별 주요 기획과제는


 (신산업분야)


 ㅇ 로봇분야는 인식센서융합 기반 실환경하에서 임의의 사용자 30명에 대해 인식률 99%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신원과 행위 및 위치 정보 인식 기술” 개발


 ㅇ 바이오분야는 환자복지형 호발성 질환 치료 가이드라인 구축을 위한 “질병특이 유전자 진단기술” 개발


 ㅇ RFID/USN분야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개인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센서단말 지원 소프트웨어 및 응용 서비스” 개발


 ㅇ 산업융합기술분야는 자율안전주행을 위한 “협력제어통신/보안 기술 및 핵심 코어 칩” 개발 등임


 (정보통신산업 분야)


 ㅇ 반도체분야는 “멀티 Shader GPU 통합형 멀티 코어 퓨전(Fusion) 프로세서 기술” 개발

 

 ㅇ 홈네트워크·정보가전분야는 “가정용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술” 개발


 ㅇ 차세대이동통신분야는 “초소형 RF 단위모듈 기반의 Scalable한 적층형 Radio Unit(RU)” 개발


 ㅇ SW분야는 차세대 메모리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용 임베디드 시스템 소프트웨어 원천기술” 개발

 

 ㅇ 디지털콘텐츠분야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3D 영상편집 도구” 개발 등이 포함됨


□ 기획과제에  대한 신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지역별 사업설명회를 2월중에 개최할 예정임

 

 ㅇ 또한 5~6월중 사업자를 최종결정 하고, 상반기내에 협약을 체결할 계획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