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LGERI, 에너지 걱정 덜어줄 유망 소재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LG경제연구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1-31
- 등록일 2012-02-13
- 권호
ㅁ 개요
최근 IEA 보고서는 추가적인 에너지, 환경 정책 추진 없이 현재와 같은 에너지 소비 패턴으로 지속된다면 장기적으로 지구 온도가 섭씨 6도가 상승하여 심각한 환경 파괴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발 도상국의 경우 비용이 비싼 신재생 에너지 보다 쉽게 쓸 수 있는 화석 연료 기반의 에너지에 주로 의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의 중요성은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에너지 생산, 변환, 소비, 재생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려는 치열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고 그 중심에 소재와 부품이 있다. 부품 및 소재의 역할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부문에서는 대형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를 가능케 하는 탄소섬유복합소재와 태양전지의 고순도 폴리실리콘 개발 경쟁이 치열하며,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이 유망하다. 화력발전에서는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압, 고온에서도 견딜수 있는 초초임계 발전용 소재인 초내열 합금강의 개발이 한창이다. 수송용 분야는 항공기와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유무기 복합소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2차 전지용 탄소 소재 및 실리콘계 합금 소재의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한편 가정/상업/산업용의 경우 SiC 반도체 소재, 유무기 발광소재, 차열도료/단열도료 등이, 폐기 에너지 회수 부문에서는 압전/열전 소재,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등이 주목 받고 있다.
에너지 효율 개선의 요구가 커질수록 소재 산업에 대한 기대 수준도 높아질 것이다. 융복합 소재가 늘면서 유기, 무기, 금속 소재 기업간 즉 이종 소재기업간의 경쟁도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소재 부품 기업들은 더 수요 산업 관점에서 볼 수 있어야 하며 기존의 역량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분야의 기술 역량을 향한 열린 자세를 갖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ㅁ 목차
Ⅰ. 점점 커지는 에너지 효율의 중요성
Ⅱ. 에너지 효율 제고형 유망 부품 및 소재
Ⅲ. 시사점
최근 IEA 보고서는 추가적인 에너지, 환경 정책 추진 없이 현재와 같은 에너지 소비 패턴으로 지속된다면 장기적으로 지구 온도가 섭씨 6도가 상승하여 심각한 환경 파괴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개발 도상국의 경우 비용이 비싼 신재생 에너지 보다 쉽게 쓸 수 있는 화석 연료 기반의 에너지에 주로 의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의 중요성은 특히 선진국을 중심으로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에너지 생산, 변환, 소비, 재생 과정에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려는 치열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고 그 중심에 소재와 부품이 있다. 부품 및 소재의 역할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신재생 에너지 발전 부문에서는 대형 풍력 발전기 블레이드를 가능케 하는 탄소섬유복합소재와 태양전지의 고순도 폴리실리콘 개발 경쟁이 치열하며,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이 유망하다. 화력발전에서는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압, 고온에서도 견딜수 있는 초초임계 발전용 소재인 초내열 합금강의 개발이 한창이다. 수송용 분야는 항공기와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유무기 복합소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2차 전지용 탄소 소재 및 실리콘계 합금 소재의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한편 가정/상업/산업용의 경우 SiC 반도체 소재, 유무기 발광소재, 차열도료/단열도료 등이, 폐기 에너지 회수 부문에서는 압전/열전 소재,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등이 주목 받고 있다.
에너지 효율 개선의 요구가 커질수록 소재 산업에 대한 기대 수준도 높아질 것이다. 융복합 소재가 늘면서 유기, 무기, 금속 소재 기업간 즉 이종 소재기업간의 경쟁도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 소재 부품 기업들은 더 수요 산업 관점에서 볼 수 있어야 하며 기존의 역량의 한계를 벗어나 다양한 분야의 기술 역량을 향한 열린 자세를 갖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ㅁ 목차
Ⅰ. 점점 커지는 에너지 효율의 중요성
Ⅱ. 에너지 효율 제고형 유망 부품 및 소재
Ⅲ.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