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LGERI, 표준 경쟁, 생존 경쟁에서 생태계 경쟁으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LG경제연구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2-02-06
  • 등록일 2012-02-17
  • 권호
ㅁ 요약

한 국가의 표준 전략은 기술 발전은 물론 경제적인 의미도 크기 때문에 표준의 제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더 나아가 국가간의 경쟁을 염두에 둔 산업정책적 차원에서 전개되어 온 측면이 많았다. 특히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기술 표준을 놓고 벌어진 기업간의 경쟁은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의 문제와 직결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그 중심에 일본과 유럽연합 그리고 미국이라는 3대 강대국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가 HDTV 표준화 경쟁과 2G 이동전화 표준 경쟁을 들 수 있다. 여기에 중국 변수가 더해지면서 국가간 경쟁은 더 복잡해 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부각되고 있는 또 다른 패러다임은 에코시스템 경쟁이다. 과거와 달리 국가와 개별 기업을 넘어 생태계 안에서 연합한 기업끼리 생태계의 확산을 놓고 경쟁하는 것이다. 애플의 iOS를 기반으로 한 애플 생태계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생태계에다 최근에는 각국의 통신사들이 연합하여 웹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생태계를 만들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생태계간에는 경쟁 뿐 아니라 공존관계도 존재한다. 애플 생태계 위에 구글서비스가 올라가기도 한다. 전기차 충전방식에서도 미국과 유럽이 교류 충전방식을 상호 인정하고 직류방식을 통합하기도 한다. 주목할 만한 점은 생태계를 통한 사실상의 표준화 작업은 결국 시장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한 국가나 어떤 기업이 주도하는 표준화 보다 더 강력하고 파괴력이 클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표준 경쟁 양상의 변화를 고려한다면 표준화를 좀 더 넓은 시각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단일 표준 경쟁 보다는 경쟁과 협력이 공존하는 생태계 경쟁 양상이 부각되고 있고 기술의 변화가 빨라지고 있는 상황에서 표준에 대한 의사 결정은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둔 유연한 탐색과 테스트 과정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ㅁ 목차

Ⅰ. 표준화의 의미와 중요성

Ⅱ. 표준화의 두 가지 의미

Ⅲ. 변화하는 표준 경쟁 양상

Ⅳ. 표준 경쟁 양상의 변화와 시사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