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STEPI, 생산구조와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의 동태적 변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2-02-22
  • 등록일 2012-02-27
  • 권호
ㅁ 개요


 90년대 이후 연구개발투자가 한국경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 이론의 여지가 없으나, 실증적인 연구결과가 부족한 탓에 논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국의 혁신체제는 1960년대~70년대 기반구축기, 1980년대~90년대 성장기를 거쳐 2000년 이후 지식기반경제로 진입하였는데 이러한 역사적 과정에서 한국경제의 생산구조는 요소투입 중심에서 과학기술 또는 지식 중심으로 변화해왔다. 


 역사적 과정에서 연구개발 활동이 한국경제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국민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그 중요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며, 이는 시대별로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가능한 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혁신체제의 변화과정에서 혁신활동에 핵심적인 요소인 연구개발투자의 효율성을 추정하여 효율성에 구조적인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인데,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에 구조적인 변화가 있다면 한국경제의 생산구조의 틀에서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음미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에 대한 개념,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의 동태적 변화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마지막장에서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ㅁ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의 개념

3. 연구개발투자 효율성의 동태적 변화

4. 맺음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