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 R&D인력의 역량강화 교육 ”을 대폭 강화 한다 !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2-02-29
  • 등록일 2012-03-02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연구개발인력교육원(원장 김상선)은 올해 16조 227억원 규모로 확정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R&D 효율과 성과 제고를 위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는 정부출연(연)과 대학 등의 연구 및 행정인력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교육을 중점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우리나라는 지난 10여년 동안 과학기술예산을 연평균 10% 이상 확대해 온 결과 국가전체 과학기술투자규모는 GDP 대비 3.74%로 이스라엘, 핀란드에 이어 세계 3위권이며 절대규모면에서도 OECD 국가 중 7위 수준으로 조사되고 있다.


□ 앞으로 투자확대 노력은 계속되어야 하며, 동시에 연구효율과 성과 제고에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한편 연구개발활동은 결국 이에 참여하는 과학기술인력의 양 어깨에 달려있음을 감안할 때 R&D 효율 및 성과제고는 결국 이를 담당하고 있는 과학기술인력의 역량에 따라 좌우된다.


□ 이에 따라 연구개발인력교육원에서는 2012년 총 58개 집합교육과정과 130여개의 온라인 과정을 개설하여 출연(연)과 대학 등의 연구현장에서 활동 중인 인력을 대상으로 연구역량교육을 대폭 강화할 계획을 밝혔다.


□ 연구개발인력교육원의 주요 교육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정부출연(연) 및 과학기술유관기관 인력을 대상으로 직급별, 단계별 교육과정 [출연(연) 기본 교육]


   - 신규직원, 재직직원, 중견보직자, 고위보직자, 최고위과정 등


2. 국가R&D에 참여하는 대학 연구인력 교육과정 [대학인력 기본교육]


   - 대학연구책임자과정, 대학원 석박사과정, 산학협력단과정 등


3. 국가연구개발비의 올바른 사용 교육과정 [올바른 연구비 사용 과정]


   - 사후적발 및 처벌보다 사전예방교육을 통하여 근원적으로 대응


4. 기본교육 이수 후 개인별 수요에 따라 참여하는 [전문역량 과정]


   - Plan-Do-See 연구개발 전주기에 걸친 전문교육과정


5. 국가연구개발사업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 의한 [법정교육 과정]


   - 연구실안전, 연구보안, 연구윤리, 연구노트 등


6. 수요자의 편의를 고려한 [찾아가는 교육, 이러닝 교육 과정]


□ 마지막으로 김상선 원장은 “연구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사례중심(CBL, Case-based learning), 문제해결중심(PBL, Problem-based learning)의 교육을 통하여 수요지향성과 현장성을 대폭 강화함으로써 연구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을 되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 및 성과제고에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교육” 추진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