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국가나노인프라, 특성화고生 첨단나노교육 드디어 시작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2-03-06
- 등록일 2012-03-06
- 권호
□ 대구, 광주, 전북지역 특성화고 학생 85명은, 오는 3월 7일 총 6개월 과정의 첨단나노분야 기술교육을 위하여 각 지역 나노인프라기관에 입소 할 예정이다.
* 대전․경기․경북지역 나노인프라기관에는 2월 입소(특성화고生 90명 대상)
ㅇ 금번 특성화고교생 대상 첨단나노기술 교육사업은 지난 12월 체결한 「첨단나노분야 특성화고 인력양성 MOU*」를 이행하기 위한 것으로,
* 특성화고生의 나노교육․취업지원을 위한 지경부(인프라기관)-지자체-교육청-기업간 협약 (11.12.1)
* 국가나노인프라기관 : 나노융합실용화센터(대구), 나노종합팹(대전), 나노특화팹(경기),
나노기술집적센터(광주‧전북‧경북)
ㅇ 전국 94개 특성화고와 99개 기업이 참여하고, 상반기 175명․하반기 145명을 교육하여 연간 320명의 나노분야 현장기술자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이다.
* 12년 나노인프라기관 특성화고생 교육계획(안)
- 교육인원 : 대전(60名), 경기(80名), 경북(60名), 대구(40名), 광주(40名), 전북(40名)
- 교육기간 : 상반기(2월~8월), 하반기(8월~2월)
□ 특성화고 인력양성 사업은 나노융합산업의 성장으로 측정․공정 장비 Operator, Technician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교육기관(특성화고)의 나노분야 장비실습 부족으로 인력공급에 애로가 발생함에 따라
ㅇ 정부가 구축한 나노인프라의 첨단 나노장비와 전문인력을 활용하여, 특성화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노기술을 교육하고, 관련기업으로의 취업까지 연계하는 사업으로
ㅇ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나노기술․공정 이론과, 특히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장비실습 위주로 교육이 이루어지며
* 장비실습 : 이론 = 70 : 30 (총 교육시간 800시간)
ㅇ 교육생의 채용 지원을 위해 관련 기업이 교육과정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뿐 아니라, 해당 지자체․교육청(학교)이 일자리 확보를 위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추진한다.
지경부(6개인프라) |
|
6개지자체 |
|
6개교육청(94校) |
|
기업(99社) |
·교육프로그램 |
↔ |
·프로그램 정착, |
↔ |
·우수학생 추천 |
↔ |
·프로그램 개발, 연수 |
□ 금번 지역별 교육생 선발 결과, 평균 경쟁률이 7:1에 달할 정도로 특성화고生의 관심과 참여가 예상보다 훨씬 높음에 따라, 참여기업은 우수한 나노인력 수급에 대한 기대감을 표명하였고
ㅇ 참여학교는 지속적인 교육인원 확대와 더불어, 교육 현장의 여건을 고려하여 동 사업에 참여하지 못한 학생과 관련 분야 교사를 대상으로 한 단기교육 과정을 신설도 건의하였다.
□ 동 사업이 기존 국가 나노인프라를 중심으로 해당지역 기업, 지자체, 교육청의 참여로 추진됨에 따라 기업 밀집지역인 부산 경남권은 동 교육에 포함되지 않고 있는 상태로
ㅇ 지경부는 부산 경남권의 기업․학교에 대한 수요조사와 지역內 출연연․대학 등의 나노장비보유 현황조사를 통해 동 지역에 대한 교육 필요성과 가능성을 동시에 검토 중이며
* 부산지역 1차 수요조사(2月): 16개교․30개사 참여의사 밝힘, 경남지역 수요조사 3月예정
ㅇ 김재홍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은 “나노분야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은 교육과 기업 현장을 실질적으로 연결해주는 구체적인 모델이라고 생각하며, 앞으로 동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