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과위, 내년도 정부 R&D 투자, 수요자 의견을 최대한 반영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2-03-29
  • 등록일 2012-03-30
  • 권호
'2013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공청회 개최



□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김도연, 이하 국과위)는 3.30(금) 서울대에서 '2013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설정을 위해 산·학·연 R&D 전문가와 부처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공청회를 개최한다.



□ 국과위 김도연 위원장은 "올해는 예년과 달리 세부 기술분야별 투자방향에 대한 심층토론의 장을 별도로 마련하여 정부 R&D 투자방향 설정의 전문성과 개방성을 강화하는 기회로 삼겠다" 라고 강조하였다.



※ 거대공공, 녹색자원, 첨단융합, 주력기간, 생명복지 등 5개 기술분야별로 R&D 투자방향에 대한 심층 토론 진행



□ 이번 '2013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에서 국과위는 중소·중견기업 육성 지원, 미래성장 기반 확충 등 7대 중점추진분야*와 함께 신규 R&D사업 사전기획 강화 등 6대 투자시스템 선진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중소·중견기업 육성 지원, 미래성장 기반 확충, 공공기반 R&D지원 강화, 서비스 R&D 활성화, 융합형 민·군 R&D체계 구축, 창조와 융합을 통한 과학기술혁신 및 인재양성 강화, 전략적 국제협력 등 개방형 혁신체계 구축



** 신규 R&D사업 사전기획 강화, 계속사업 타당성 재검증 강화, 융·복합연구 활성화, 사업구조개편, 유사·중복 방지, 출연(연) 재정지원시스템 개선



○ 또한 기술분야별로는 지난해 11월부터 5대 전문위원회* 중심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우주·항공·해양, 건설·교통 등 9대 기술분야**별 중기 및 2013년 투자방향과 구체적인 효율화방안을 제시하였다.



* 거대공공, 녹색자원, 첨단융합, 주력기간, 생명복지



** 우주·항공·해양, 건설·교통, 에너지·자원, 환경, 생명·보건의료, 농림수산·식품, 정보·전자, 기계·제조, 소재·나노



○ 특히, 이번 투자방향 및 기준(안)에는 지금까지의 투자방향과 달리 예산요구 및 배분·조정 시에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는 2013년도 R&D사업 예산 작성 세부기준이 구체적으로 포함되었다.



□ 공청회 세부일정은 산·학·연 R&D 전문가 및 부처 관계자 등의 종합적인 의견수렴을 위해 크게 3부로 나누어 진행될 계획이다.



○ 1부에서는 내년도 투자방향, 중점추진분야, 정부 R&D 투자 시스템 선진화 방안 등에 대한 기조발표와 전문가 패널토론이 이루어지고



○ 2부에서는 거대공공, 녹색자원, 첨단융합, 주력기간, 생명복지의 5개 기술분야별로 R&D 투자방향에 대한 심층 토론을 진행한 후,



○ 마지막 3부 종합토론 시간에는 기술분야별 논의사항에 대해 보고하고 전체 토론내용을 정리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 국과위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뿐만 아니라 온라인으로 수렴한 의견 등을 반영하여 '2013년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을 마련하고 국과위 운영위원회, 본회의를 거쳐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 공청회에 참석하지 못한 경우에도 국과위 홈페이지(www.nstc.go.kr)를 통하여 온라인으로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 '13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공청회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www.nstc.go.kr)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www.kistep.re.kr)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 이번 공청회는 별도의 사전신청 없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 문의 : KISTEP (02-589-2247, 2971)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