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R&D 현황 및 투자 지원 방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2-04-09
- 등록일 2012-04-09
- 권호
주요 내용
□ 정부의 지속적인 R&D 투자 노력 등으로 2010년 우리나라의 연구개발 투자액은 최초로 40조원을 돌파
○ 우리나라 연구개발예산은 10,343백만 달러로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에 이어 세계 8위권
○ 우리나라의 2010년 총 연구개발비는 37,935백만 달러로 미국, 일본, 독일, 중국, 프랑스, 영국에 이어 세계 7위권
□ 이 중 기업이 사용한 연구개발비는 전체의 74.8%(32조 8,032억원), 연구원은 65.4% (226,168명)로 기업은 우리나라 연구개발 활동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
○ 이러한 기업 연구개발비 비중은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가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보다 높은 수준
□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 연구개발 활동은 소수 대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실정
○ 2010년 대기업 연구개발비는 24조 2,129억원으로 전체 기업의 73.8%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R&D 투자 상위 10대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전체 기업의 40.2%로 높은 실정
□ 이러한 대,중소기업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0년 동반성장위원회를 출범하는 한편,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중소기업 지원 대책 등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중소기업 R&D 투자를 확대
□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중소기업의 R&D 투자, 인력 등 부문별 특성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중소기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우선 중소기업의 R&D 투자 및 인력, 성과 현황을 대기업, 중견기업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소기업 연구개발 활동의 경쟁력을 분석함
○ 다음으로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와 경영 지표, 기업 성장과의 연계성 분석을 수행하여 연구개발 활동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
○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위한 정부의 중소기업 R&D 지원 방안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목차
Ⅰ. 작성 배경
Ⅱ. 중소기업 R&D 투자 현황 분석
Ⅲ. 중소기업 R&D 인력 및 성과 현황 분석
Ⅳ. 중소기업 성장과 R&D 투자의 상관관계
Ⅴ.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