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ET, 기업의 기술사업화 현황과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2-04-17
  • 등록일 2012-04-17
  • 권호
ㅁ 요약

ㅇ 기술사업화는 제품 및 공정개발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 개발·완료되어 출시제품이 제작·완료되기까지를 의미하는데, 기술혁신의 경제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관건
 

ㅇ 산업연구원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사업화는 대부분 사업화의 위험성이 낮은 성장기 기술의 단기 제품화에 치중

 

- 기업의 48.0%가 기술수명주기상 성장기 기술을 사업화 대상으로 하고 있고, 기업의 45.2%가 성장기에 있는 제품 및 공정을 사업화

 

ㅇ 우리나라 기업이 기술사업화를 중단하는 이유로‘기술개발 실패 또는 높은 위험부담’이 61.7%로 가장 많이 지적

 

- 그 다음으로‘부족한 시장수요’55.0%, ‘자금부족’42.6%, ‘마케팅역량 부족’38.7% 등인 것으로 파악

 

ㅇ 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사업화 추진역량을 제고하고, 효율적인 정부지원시스템을 구축할 필요

 

- 인력, 기술력, 자금력, 정보력, 다양한 협력 네트워크 등 기술사업화 추진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

 

- 시장과 연계된 R&D의 사전기획 기능 강화, 기술사업화 관련 정부지원사업간의 상호연계성 제고 등 정부 R&BD지원 시스템의 효율화가 필요



ㅁ 목차

-기업의 기술사업화는 기술혁신 성과 제고의 관건

-우리나라 기업의 기술사업화는 대부분 성장기 기술의 단기 제품화에 치중

-기술사업화의 주 애로요인은 기술개발

-기술사업화 대상 기술은 대부분 자체개발에 의해 획득

-기업의 기술사업화 추진역량 중 기술경영인력이 가장 부족

-기업의 기술사업화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구축 필요

-정부 R&BD지원 시스템의 효율화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