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과정」 국내 최초 개설 지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2-04-18
- 등록일 2012-04-18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향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추진 목적인 기초연구와 비즈니스의 융합 촉진에 대비,
○ 과학지식과 관련 비즈니스를 이해하고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 Professional Science Master)」 양성 지원 사업을 과학벨트 기능지구인 천안시·청원군·연기군 지역 내 대학을 대상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 PSM 양성 사업은 「과학비즈니스벨트 기본계획」('11.12.2 수립)에 따라 기능지구 혁신역량 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시범사업으로
○ 특정 기초과학 지식을 바탕으로 관련 비즈니스를 접목시킬 수 있는 과학경영 전문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SM 과정은 1997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이후 캐나다·영국 등의 110개 대학에 237개 과정이 개설·운영(2010년 말 현재)되는 등 활성화되고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PSM 양성을 특수대학원 전문석사(2년) 과정으로 운영하되, 입학 자격을 이학·공학계 학부졸업 예정자 또는 산·학·연 등 종사자 중 이공계 학사이상 취득자를 원칙으로 하여
○ 특정 핵심 분야의 기초과학 지식을 심화시키고, 관련 경영·경제 기본 소양을 교육함과 동시에 국내외 인턴쉽을 통한 현장 실습, 산·학·연 협력 프로젝트 등을 중점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 향후 거점지구 기초연구성과와 비즈니스의 연결 등 과학기반산업의 수요에 적극 부응할 수 있는 인재를 2017년까지 300명 내외로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 특히, PSM 양성은 과학벨트 기능지구(천안시·청원군·연기군)의 혁신역량 강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인 만큼
○ 각 지구에 따라 물리경영·바이오경영 등 산업특화발전 전략과 연계한 PSM 과정을 개설·운영하도록 권장하여 지역 특화발전 전략과의 연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 본 사업의 신청자격은 사업공고일 현재 과학벨트 기능지구 내에 소재한 이공계 운영 4년제 대학(캠퍼스)이면 가능하고
○ 사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대학은 오는 6.11일까지 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대전시 소재, 042-865-8883)에 사업계획서를 제출하면 된다.
□ 한편 교과부는 4.18일부터 사업자 선정을 위한 사업공고(교과부 과학벨트 포털(www.isbb.go.kr) 및 연구개발특구본부 포털(www.innopolis.or.kr) 참조)를 실시하고, 5월 3일에는 사업기본계획 등 관련정보 제공을 위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 사업계획을 신청한 대학에 대하여는 인력양성추진위원회의 평가·심의를 통해 7월중 지구별로 1개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