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KOITA, 2011년도 기업연구소 현황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2-03-28
- 등록일 2012-04-24
- 권호
[요약]
ㅁ2011년 한해동안 기업연구소는 인정 4,028개, 취소 1,522개로 전년대비 2,506개 증가(2011년 12월말 2만 4,291개)
○ 대기업: 인정 69개, 취소 26개로 2011년말 현재 1,415개
○ 중소기업: 인정 3,959개, 취소 1,496개로 2011년말 현재 2만 2,876개
ㅁ2011년 인정된 기업연구소(4,028개)의 연구분야를 살펴보면, 전기⋅전자 24.0%(966개), SW개발⋅공급 16.9%(681개), 기계 15.3% (617개) 등임
○ 대기업 연구소(69개): 전기⋅전자 26.2%(18개), 화학 17.5%(12개), 생명과학 10.2%(7개) 등의 순
○ 중소기업 연구소(3,959개): 전기⋅전자 24.0%(948개), SW개발⋅공급 17.1%(676개), 기계 15.4%(611개) 등의 순
ㅁ2006년 1만 3,324개였던 기업연구소는 연평균 12.8%의 증가율을 보이며 2011년 2만 4,291개로 증가
○ 2006년 926개였던 대기업 연구소는 2011년에 큰 증가를 보이며(전년대비 증가율 25.7%), 2011년말 1,415개에 이름
○ 2006~2011년간 연평균 13.0%의 높은 증가율을 보여온 중소기업 연구소는 전체연구소의 94.2% 차지
ㅁ2006년 17만 9,709명이던 연구전담요원수도 2008년 20만명을 돌파(209,137명)하였고 2011년 12월말 25만 7,510명에 달함
○ 대기업은 2006~2011년간 연평균 6.8%의 증가세를 보이며, 2011년 12월말 11만 104명에 이름
○ 중소기업은 2006~2011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7.9%로 전반적으로 둔화추세로, 2011년 12월말 연구전담요요원 전체의 57.2%(147,406명)를 차지
ㅁ2011년 기준 연구전담요원(25만 7,510명)의 학위별 현황은 학사57.8%(14만 8,910명), 석사 26.9%(6만 9,328명), 박사 5.3%(1만 3,551명) 등임
○ 박사의 68.8%(9,321명)이 대기업에 속한 반면, 학사의 60.2%(8만 9,657명)이 중소기업에 소속
○ 석사의 59.7%(4만 1,420명)는 대기업에 근무
○ 기타(전문학사 또는 산업기사)는 대부분 중소기업에 근무
ㅁ현재 한시적으로 인적 신고요건(연구전담요원 최소 3명)을 적용받고 있는 소기업 연구소에 대하여 이를 영구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됨
[목차]
Ⅰ. 2011년 기업연구소 총괄현황
1. 2011년 기업연구소 인정현황
2. 2006~2011년간 기업연구소 증가추이
Ⅱ.기업연구소 세부현황
1. 연구분야별 현황
2. 소재지별 현황
3. 연구공간 면적별 현황
4. 연구공간 형태별 현황
Ⅲ. 연구전담요원 현황
1. 연구전담요원의 증가추이
2. 학위별·연구분야별 연구전담요원 현황
Ⅳ. 결론 및 제언
1. 2011년 기업연구소신고제도의 주요 변동내용
2. 최근 기업연구소 설립의 주요특징
3. 소기업 연구소의 인적 신고요건 영구화 필요
부록-기업의 연구개발투자 현황분석
1. 연구개발투자 추이
2. 연구개발활동 집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