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년도 추진실적 점검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2-04-25
  • 등록일 2012-04-25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 이하 ‘교과부’)는 24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심의를 거쳐 작년 5월 수립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15)」의 ’11년도 추진실적 점검결과를 확정했다.


 ○ 실적점검 결과, 교과부를 비롯한 11개 부처·청등은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을 위하여 ‘11년 한 해 전년*대비 17.6% 증가한 총 2조 4,970억원을 투자하였다.


      * ‘10년도 총 투자액 : 2조1,234억원 


 ○ △초중등 △대학(원) △출연(연) △기업 △인프라 등 5대 영역별로 15대 중점 추진과제의 92개 세부사업을 추진하였으며, 이 중 대학(원) 영역의 투자 비중이 82.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11년도는「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을 처음 추진한 해로서,


 ○ 교육과정 개정 및 첨단교사연수센터 시범운영 등을 통한 미래형 융합인재교육(STEAM)의 추진 기반 마련,


 ○ GPS시스템 도입을 통한 학부에서 국가과학자까지 우수 이공계인력의 전주기적 지원체제 구축,


 ○ 세계수준의 기초과학연구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과학연구원의 설립(’11.11) 등 과학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신규 사업을 추진하였다.


□ 5대 영역별로 주요 추진실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초·중등 영역의 경우 수학 및 실과 교육과정 개선(‘11.8), 수학교육선진화 종합대책 발표(’11.11)을 통해 ‘미래형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제도적·인적기반을 조성하였다.


     *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수혜를 확대하기 위해 영재학급을 기존 2,451개 학급에서 3,521개 학급으로 늘렸으며, 시험보다는 관찰 추천방식 등을 통해 학생을 선발하는 비율을 기존 16.1%에서 45.6%로 높였다.


 ○ 대학(원) 분야에서는 우수한 이공계 학생을 국가과학자로 육성하기 위해 GPS(Global Ph.D. Scholarship)지원 시스템을 도입하여 추진하였으며,


  - 대학의 수요지향적 인재양성 기반 조성을 위해「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LINC)사업」계획을 수립(‘12.1)하였다.


 ○ 출연(연) 분야에서는 연구몰입환경조성 및 교육기부 활성화를 위해 제도를 개선하였다.


  - 우수연구원 정년 연장(61세→65세), 퇴직 후 연장근무제 확대(‘10년 105명→’11년 143명), 과학기술발전장려금 재원 확보 및 부가서비스 확대를 통한 과학기술인 연금제도 강화 등 출연(연) 연구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제도를 정비하였다.


  - 아울러,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하여「기초기술연구회 산하 출연(연) 교육기부 협의체」의 구성(‘11.3) 및 기관평가지표에 ‘교육기부활동’ 추가 등 출연(연)의 교육기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 기업 영역에서는 방통위, 지경부, 환경부, 국토부 등의 사업을 통하여 기업연구인력에 대한 재교육을 실시하고, 고부가가치 산업분야의 인력을 양성하여 기업연구인력이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경력을 개발하는 활동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였다.


 ○ 마지막으로 인프라 영역에서는 「여성과학기술인지원사업 통합센터」출범(‘11.1) 및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 R&D복귀사업 시범 운영 등을 통해 여성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을 육성 중심에서 활용 중심으로 바꾸었으며,


  -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인식제고를 위해 과학관(‘10년 89개→ ’11년 102개) 및 사이언스TV 송출가구 수(‘10년 1,049만 가구  → ’11년 1,388만 가구 달성)를 확대하는 등 생활속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였다.


□ 앞으로 교과부는 이번 ‘11년 추진실적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의 사업을 본격적으로 보완·추진하여 5대 영역에 걸친 과학기술인재 육성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