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중기청, 서비스 R&D 사업에 중소기업 대거도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중소기업청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2-04-24
  • 등록일 2012-04-25
  • 권호

중소기업청(청장 송종호)은 올해 125억원의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중소기업 서비스연구개발사업에 1,178개 중소기업이 과제 제안서를 신청하여 약 15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고 밝혔다.


금년 서비스연구개발사업은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중소기업의 시장지향적 서비스상품 개발 및 사업화를 적극 지원하기 위해


일반적인 R&D사업 선정절차를 탈피하여 예선 후 본선 심사방식을 도입하였으며,


과제발굴도 제품개발을 통해 신규 서비스영역을 창출하는 “제품개발 중심형”과 기존기술을 활용 또는 개선으로 신규서비스 영역을 창출하는 “서비스 중심형”으로 유형화하고,


선정된 과제에 대해서 총사업비의 75% 이내에서 개발기간 1년동안 2억원까지 연구개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작년 신청율이 7:1인데 반해 금년 신청률이 대폭 확대된 배경으로는 지원․선발방식 변경 및 사업신청서를 간소화(3페이지 이내)하여 중소기업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한 결과로 분석된다.

























































































<서비스연구개발 과제신청 현황>
(단위 : 건, %)


개발유형



서울



경기



인천



강원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전남



전북



제주



충남



충북



합 계



비율



제품개발중심형



319



135



10



6



14



4



12



28



37



28



1



13



8



3



14



11



643



45.4%



서비스 중심형



314



81



14



12



7



10



6



16



23



15



5



8



6



5



6



7



535



54.6%



합 계



633



216



24



18



21



14



18



44



60



43



6



21



14



8



20



18



1,178



100%





향후 지원과제 선발절차는


4월말까지 예선심사에서 혁신적이며 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예비과제를 선정한 후,


선정된 중소기업에게 20일의 과제기획 작성기간을 부여하여 과제제안서 작성방법, PPT 발표 등에 대하여 집합교육을 하고,


6월말까지 본선심사에서 대면발표 및 현장평가를 거쳐 80개 과제를 최종 선발할 계획이다.


또한, R&D 결과물이 신속히 서비스상품으로 사업화될 수 있도록 기술보증기금 및 벤처캐피털협회 등의 자금․투자 전문가를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멘토로 참여시켜, 연구개발 완료 후 보증, 자금, 투자 등과 연계해 신속히 지원할 예정이다.


붙 임 중소기업 서비스연구개발사업 개요 1부.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