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태양광기술의 현주소와 졍부R&D 역할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4-30
- 등록일 2012-04-30
- 권호
ㅁ 요약
1. 개념과 범위
○태양광기술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신재생에너지기술
- 반도체 혹은 염료, 고분자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태양전지에 빛 에너지를 받으면 광전효과(Photovoltaic effect)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는 청정에너지 기술
○사용되는 재료 및 발전단계에 따라 구분
- 태양전지 재료에 따라 실리콘계, 화합물, 염료감응, 유기 등으로 구분
- 발전단계에 따라 1세대(결정질실리콘), 2세대(실리콘 박막, CIGS박막, CdTe박막 등), 3세대(염료감응, 유기, 양자점 등)로 구분
2. 정책·산업·기술 동향
○태양광 분야 주요 선진국은 글로벌 선점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한정책적 지원 프로그램 운영 중
- 미국 「SunShot Initiative」, 일본 「All Japan Project」, 중국 「황금태양 시범 프로젝트」 등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추진
- 우리나라도 ’11년 4월 「신성장동력 10대 프로젝트」에 박막 태양광기술을 포함하는 등 태양광 분야에 집중 투자 중
○'10년 유럽 경제위기, 중국산 저가 태양광 제품의 과잉공급 등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태양광 산업이 침체위기를 맞았으며, 현재는 조정 국면 돌입
- '11~'15년까지는 태양광 설치시장 성장 전망율은 20%이며, ’06~’10년 77%보다 약 3.9배 감소 전망
- 기술경쟁력 및 가격경쟁력이 낮은 태양광업체들은 파산 또는 재정적 위기 상황
※ (미)Evergreen Solar/SpectraWatt/Solyndra 파산, (독)Q-Cells 경영위기 심각 등
- 태양광 분야 Top 10 업체가 생산량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중국 및 대만 업체가 대부분
○미국, 일본, 호주 등을 중심으로 고효율·저가화 기술개발 추진 중
- 결정질실리콘 분야는 호주, 미국 등에서 20% 이상의 효율을 가진 태양전지를 개발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1년 신성솔라에너지가 6인치에서 19.1%의 효율 달성
- 국내 CIGS박막 분야는 삼성SDI, LG이노텍 등에서 활발히 연구 중
3. R&D 현황
○'10년 태양광 분야 정부R&D 투자규모는 1,988억원으로 전년대비 27.4% 증가하였으며, 지경부의 투자비중이 가장 높음
-'10년 개발연구의 투자비중이 68.6%로 가장 높으며, 기초·응용연구는 투자 비중 증가 추세
-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비중이 41.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대기업(21.3%), 출연연(18.3%), 대학(17.6%) 등의 순
○결정질실리콘 분야의 투자비중이 가장 높고, 실리콘 박막, CIGS박막, 염료감응 등의 순
- 결정질실리콘 및 실리콘 박막은 민간기업의 투자비중이 높으며, 차세대 태양전지 기술은 대학 및 출연연의 투자비중이 높음
○정부의 적극적인 R&D투자로 인해 태양광R&D 분야의 논문·특허 성과는 태양광R&D 예산증가율(27.4%)에 비해 우수하나 사업과 성과는 다소 저조
4. 국내 태양광기술에서의 정부 역할 제언
현황 |
시사점 |
•범부처차원의R&D투자포트폴리오 전략부재 |
•CIGS박막,유기등2·3세대 태양광 기술에 대한 투자비중 점차 확대하고 민간역량이 성숙된 결정질실리콘 R&D투자 비중은 점차 축소필요 |
•R&D예산증가율대비논문·특허성과는 우수하나사업화성과는다소저조 |
•협력프로그램 투자확대,사업성 평가 강화등 연구환경을 조성하고,투자효과의 심층평가를 통한 성과 제고방안 마련필요 |
•유사·중복가능성이의심되는일부 연구과제추진중 |
•NTIS시스템,동료평가등을 적극 활용하여 유사 중복과제 사전 배제필요 •ValueChain(Material,Cell,Module,System등)간 기술협력이될수 있도록국가적 차원에서 기술트리(Tech.tree)또는 연계지도를 작성하여 체계적인 지원방안마련 |
• 정부정책 이행점검 추진실적 미흡 |
•국과위등을 활용하여 당초 수립된 계획들이 체계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이행 점검기능 강화필요 |
• 출연(연) 간 협력연구 다소 부족 |
•공동기획강화,상시협의체운영등 |
ㅁ 목차
요약
1. 개요
2. 국내외 정책동향
3. 국내외 산업동향
4. 국내외 기술동향 및 R&D 현황
5. 국내 태양광기술에서의 정부 역할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