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기초연구사업 특성과 논문 질의 상관관계 분석 및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2-05-02
  • 등록일 2012-05-03
  • 권호

□ 주요 내용

 

○  우리나라는 기초연구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논문 피인용도, 노벨상 수상과 같은 기초연구의 질적인 성과는 아직 선진국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음


○  기초연구 성과의 질 제고를 위한 정부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 객관적 증거에 기반을 둔 현황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나, 현행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정보만을 활용한 성과분석은 아래와 같은 한계를 지님

- 범부처 차원에서 수행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에서는 정부R&D를 수행한 결과로 발생한 논문, 특허 등의 성과를 조사·분석하고 있음

- 그러나 현 조사분석 자료만을 활용한 성과분석은 논문의 내재적 특성과 논문을 이끈 연구의 추진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을 지님 


○  이에 본 고에서는 국가연구개발사업 SCI 논문의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서베이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기초연구 수준 및 역량을 보다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음

- SCI 논문을 게재한 교신저자를 대상으로 논문 자체의 특성(게재 소요기간, 게재과정, 후속연구, 공저자 등), 연구과제 특성(연구기간, 연구주제 제안방식, 추진체계, 외부와의 협력 등)을 설문조사한 후, 이들 특성과 논문 질의 상관관계와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음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기초연구 수준 및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정부R&D 기초연구 추진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 목차

Ⅰ. 작성배경

Ⅱ. 정부R&D의 기초연구 투자 현황과 논문 성과

Ⅲ. 저자 서베이 개요 및 응답자 특성

Ⅳ. 저자 서베이 주요 결과와 논문 질의 상관관계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