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KISTEP, 우리나라 우주감시기술 중장기 발전방향 제언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5-18
- 등록일 2012-05-25
- 권호
주요 내용
□ 전 세계적으로 약 3,000여 개 인공위성이 우주공간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우주잔해물의 추락, 우주 물체간 충돌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우주감시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 최근 우주 잔해물이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 하는 사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3년 동안 매년 총 80톤의 우주 잔해물이 지상으로 추락
○ 이러한 환경에서 지구 궤도상에 있는 인공위성 및 우주물체 등을 탐지(detection), 관찰(monitoring), 추적(tracking), 식별(identification), 목록화(cataloging) 하는 우주감시(space surveillance)기술은 매우 중요
□ 그러나 우리나라는 출연(연) 등을 통해 운용되고 있는 자국위성을 제외하면, 기타 미확인된 인공위성에 대한 자체 정보 획득수단이 전무하고 오직 미국의 북미방공사령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임
○ 하루 평균 700여개의 인공위성이 한반도 상공을 통과하고 있고 특히 세계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북한과 인접하여 조기에 위험성을 파악하고 대비해야 할 책임소지가 존재함
○ 또한 전 세계적으로 운용되는 위성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위성 간 충돌 및 위성과 우주물체간의 충돌 가능성이 점차 높아짐으로 우주산업에 투자되는 막대한 비용을 감안하여 우주감시기술과 회피기동제어기술 개발에 가중치를 부여해야 함
□ 따라서 본 이슈페이퍼에서는 우주감시기술의 해외 및 국내현황 소개하고, 우주감시기술의 중요성과 중장기 발전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기술 및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체계적인 정책개선의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목차
Ⅰ. 작성배경
Ⅱ. 우주감시기술의 해외현황
Ⅲ. 우주감시기술 분류와 국내현황
Ⅳ. 우주감시기술의 중장기 발전방향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