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IAT,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창출 동향과 과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2-05-23
- 등록일 2012-05-25
- 권호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구개발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규모별 연구개발 투자 및 고용창출 동향을 분석하고, 최근 고용창출형 R&D 촉진을 위해 제기되는 주요 논의와 의견을 종합하여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것임
우리나라 전체 연구개발 투자 및 연구원 고용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기업 부문의 연구개발 투자 및 고용동향을 분석해 보는 것이 우선될 필요가 있음
먼저 2장에서 기업의 고용창출과 관련한 기존 국내외 연구 및 논의 현황을 ①일자리 부족과 ②인력 부족의 두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음
그리고 3장에서는 「연구개발 활동조사 보고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규모(종업원수 기준)별로 2001년~2010년까지 10년간의 연구개발투자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기업규모별 특징 및 이슈를 진단하였음
글로벌 경기침체가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9~2010년 기간은 별도로 분리하여 분석하였으며, 고용의 경우 1차적으로 연구원의 증감을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비연구원(전체 종업원 중 연구원을 제외한 인력)과 전체 종업원의 증감을 살펴보았음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2장 및 3장에서 살펴본 고용창출형 R&D와 관련된 기존 학계 및 산업계 의견, 정부 정책추진 현황 및 연구개발 수행기업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추가적인 연구주제와 방향을 제시하였음
[목차]
요 약
제 1 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구성
제 2 장 기업의 고용창출 확대를 위한 정책 논의 현황
1. 고용창출형 기술혁신에 대한 논의 방향
2. 일자리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논의
3.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논의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창출 동향 분석
1. 분석 개요
2. 매출 및 연구개발 투자 동향
3.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 동향
4. 기업규모별 고용 동향 및 특징 비교
5. 고용 탄력성 비교
제 4 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1. 고용창출 원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중요성과 과제
2. 경기침체가 고용에 끼친 영향과 대응 과제
3. 연구의 한계 및 발전방향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구개발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규모별 연구개발 투자 및 고용창출 동향을 분석하고, 최근 고용창출형 R&D 촉진을 위해 제기되는 주요 논의와 의견을 종합하여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것임
우리나라 전체 연구개발 투자 및 연구원 고용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 연구개발 투자를 통한 고용확대를 위해서는 기업 부문의 연구개발 투자 및 고용동향을 분석해 보는 것이 우선될 필요가 있음
먼저 2장에서 기업의 고용창출과 관련한 기존 국내외 연구 및 논의 현황을 ①일자리 부족과 ②인력 부족의 두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음
그리고 3장에서는 「연구개발 활동조사 보고서」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규모(종업원수 기준)별로 2001년~2010년까지 10년간의 연구개발투자 및 고용 동향을 분석하고, 기업규모별 특징 및 이슈를 진단하였음
글로벌 경기침체가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2009~2010년 기간은 별도로 분리하여 분석하였으며, 고용의 경우 1차적으로 연구원의 증감을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비연구원(전체 종업원 중 연구원을 제외한 인력)과 전체 종업원의 증감을 살펴보았음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2장 및 3장에서 살펴본 고용창출형 R&D와 관련된 기존 학계 및 산업계 의견, 정부 정책추진 현황 및 연구개발 수행기업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추가적인 연구주제와 방향을 제시하였음
[목차]
요 약
제 1 장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
3. 연구 범위 및 구성
제 2 장 기업의 고용창출 확대를 위한 정책 논의 현황
1. 고용창출형 기술혁신에 대한 논의 방향
2. 일자리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논의
3.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논의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창출 동향 분석
1. 분석 개요
2. 매출 및 연구개발 투자 동향
3. 연구개발 수행기업의 고용 동향
4. 기업규모별 고용 동향 및 특징 비교
5. 고용 탄력성 비교
제 4 장 시사점 및 정책과제
1. 고용창출 원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의 중요성과 과제
2. 경기침체가 고용에 끼친 영향과 대응 과제
3. 연구의 한계 및 발전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