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환경부, 제7차 서울이니셔티브 정책포럼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환경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2-05-29
  • 등록일 2012-05-30
  • 권호
◇ 5월 30일~6월 1일, 아·태지역 환경 공무원, 국제기구, 정부 및 민간 전문가 등 약100명 참가 ‘“녹색”과 “경제”의 상생효과 - 아‧태지역 환경산업 및 녹색기술 촉진’논의

◇ 유영숙 환경부장관, 개회사로 한국의 녹색경제 정책과 아시아·태평양지역 녹색성장 전파 비전 밝힌다



□ 환경부(장관 유영숙)는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ESCAP)와 공동으로 ‘제7차 녹색성장을 위한 서울이니셔티브 정책포럼’(이하 ‘제7차 정책포럼’)을 5월 30일(수)부터 6월 1일(금)까지 서귀포 KAL호텔에서 개최한다.

○ 녹색성장을 위한 서울이니셔티브(Seoul Initiative on Green Growth; SI)는 2005년 ‘제5차 아‧태 환경개발 장관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아‧태지역 녹색성장 전파를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채택됐다.

-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①정책포럼 ②능력개발 ③시범사업 ④아‧태지역 국가간 녹색성장 네트워크 구축이 있다.



□ ‘제7차 정책포럼’은 ‘유엔 지속가능개발회의(Rio+20)’의 주제와 연계해 녹색과 경제의 상생효과 - 아‧태지역 환경산업 및 녹색기술 촉진을 주제로 선정하고 아‧태지역의 빈곤 감축 및 지속가능개발 실현 전략으로서 녹색과 경제의 상생효과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 이번 포럼은 한국환경공단이 주관, 제주특별자치도가 후원하며 중국, 인도네시아 등 아‧태지역 17개국 환경공무원, ESCAP 등 국제기구, 국내 학계‧산업계 등 총 100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 특히, 이번 포럼에서는 실질적인 녹색성장 성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실체로 환경 산업 촉진 및 혁신적 환경기술 소개 등에 대한 전문가 발제 및 아‧태 국가들의 활발한 논의를 이끌어 낼 예정이다.

○ 이를 위해 행사 첫 날인 5월 30일 유영숙 환경부장관은 개회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녹색성장을 위한 제도적기반 구축 노력 및 Rio+20 아‧태지역 준비회의에서 도출된 Seoul Outcome 등의 성과를 설명하며 녹색경제 및 녹색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다.

- 아울러, 아‧태지역 녹색성장 전파를 위한 대표 환경협력프로그램인 서울이니셔티브의 그간 성과 및 향후 발전 방안에 대한 희망 메시지를 참가자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 또한, 30일과 31일 양일간에는 국‧내외 저명한 환경전문가와 교수, 국제기구 관계자 등 15명이 발제자로 나서 이번 포럼 주제인 녹색과 경제의 상생효과 - 아‧태지역 환경산업 및 녹색기술 촉진을 위한 포럼을 개최한다.

- 포럼은 실질적 전략 마련을 위해 녹색과 경제의 상생 효과, 아‧태지역 저탄소 녹색성장 로드맵 적용 전략, 녹색경제와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산업 촉진 등 6가지 소주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 6개 세션 소주제 : ① 녹색과 경제의 상생 효과, ② 아‧태지역 저탄소 녹색성장 로드맵 적용 전략, ③ 녹색경제와 녹색성장을 위한 환경산업 촉진, ④ 모두를 위한 물-수자원 관리를 통한 녹색성장 실현, ⑤ 자원순환 및 폐기물 관리를 위한 녹색기술, ⑥ 녹색경제, 녹색성장 그리고 지역 협력

- 특히, 제2세션인 ‘아‧태지역 저탄소 녹색성장 로드맵 적용 전략’ 세션에서는 참가국간 Rio+20 대응 및 녹색경제‧녹색성장 적용 사례 등에 대해 공유할 예정이다.



□ 또한, 참가자들은 정책포럼과 연계해 6월 1일 하루 동안 한국의 녹색성장을 뒷받침하는 기술견학과 제주도 전통문화를 체험하기 위해 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홍보관과 제주민속촌을 방문할 계획이다.



□ 환경부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경제성장 잠재력이 높은 아‧태지역 개도국의 녹색경제 및 녹색성장 정책에 대해 체계적이고 실질적으로 논의하는 장으로서 그 의의가 크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