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SW특성을 반영한 R&D 체계 구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6-11
  • 등록일 2012-06-12
  • 권호

□ 지식경제부는 6.11(월), 김재홍 성장동력실장 및 주요 SW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SW R&D 성과사례 발표 및 체계개편 간담회’를 개최하고,「SW R&D 체계개편 방안」을 발표하였음


 ㅇ 이번 개편안은 그간 정부 SW R&D가 다른 HW R&D와 동일한 체계로 추진됨에 따라, SW가 지닌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고, SW R&D가 우리나라 SW 경쟁력 제고를 위한 Seed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었음

   * ① 인재중심 개발, ② 결과물 비가시성, ③ 기술누적을 통한 혁신 등


□ 지경부는 우선, 현행 기술개발단계를 기준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SW R&D 유형을 정책목표 기준 4개 유형**으로 다양화할 계획임


    * 원천기술개발형(TRL 5단계) / 혁신제품형(TRL 8단계)

   ** ① 국가 혁신기술 개발형, ② 전문기업 육성형, ③ 선도기술 확보형,④ 창의인재․기업 발굴형


 ㅇ 이 중, ① 국가 혁신기술 개발형 SW R&D는 최장 10년 동안 年100억원 이상을 투입하는 대규모 R&D 프로젝트로,

   - 기업의 자체 개발이 어려운 高비용․高위험 대형 SW* 개발을 위해 국가주도 Top-down 방식으로 R&D 과제를 기획할 계획임

 
   * (예시) 빅데이터 SW․컴퓨팅 기술, 무인 자율협업 시스템 등

 

 ㅇ ② 전문기업 육성형 SW R&D는 WBS(World Best Software, ‘13년 종료) 후속으로, 중소․중견 SW기업을 대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 가능한 상용SW 기술개발을 지원할 예정임


     * ③ 선도기술 확보형 : 시장 선점이 가능한 단위 SW개발 목표 ④ 창의인재․기업 발굴형 : 창의적 SW인재 발굴․육성을 목표


□ 평가체계와 관련하여, SW R&D의 정책목표와 SW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차별적인 평가 지표가 마련될 예정임


 ㅇ 이에 따라, 기존 ‘개발목표 달성도(30%)․기술성(20%)․상용성(50%)’의 항목 외에 개발기술의 확산․품질관리 노력․실제 사업화 성과 등 다양한 항목이 신설되고, SW R&D 유형별로 차별 적용됨


□ 더불어, R&D 결과평가 항목과 상용화․해외진출 지원 등 他지원사업의 선정평가 항목을 연계하는 방식으로, 우수 R&D 결과물의 실제 사업성과 창출을 위한 지원도 강화해 나갈 계획임


□ 이날 간담회에서는 WBS 프로젝트 등 지경부 SW R&D 주요 성과에 대한 사례 발표가 함께 진행되었음


 ㅇ WBS는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세계 일류 SW개발을 위해 지경부 출범후 새롭게 도입(‘10년)한 대형 R&D 프로젝트로, ‘13년 해당 과제들이 완료될 예정이나, 일부 과제에서 성과가 조기에 도출ㅇ 인피니트헬스케어(영상진단 시스템) 이재연 이사는 발표를 통해, WBS에서 진행된 SW 품질관리로 해외 수요처의 엄격한 요구조건을 충족, 이를 토대로 국내외 의료기관*과 계약을 성사하였다고 밝힘

      * 영국 의료기관인 NUTH, 국내 서울대 병원․세브란스 병원 등과 계약 체결

 

ㅇ 한국 스마트카드(자동 교통요금 징수시스템) 박영욱 상무는 개발결과의 콜롬비아 보고타市 교통요금 시스템 납품계약 체결, 싱가포르와 모바일 요금 시스템 호환 구축 합의 등 WBS가 글로벌 시장 진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평가함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