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21개국 에너지장관, 아·태지역 미래 에너지 전망을 논하다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6-25
- 등록일 2012-06-25
- 권호
□ 조석 지식경제부 차관은 6.24(일)~25(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개최된 제 10차 APEC 에너지장관회의에 참석하여 역내 미래 에너지 전망 및 대책을 논하고 한국의 에너지정책을 소개
○ ‘에너지안보 : 도전과 전략적 선택’이라는 주제로 열린 본 회의에서, 조석 차관은 어려운 에너지수급 여건에도 불구하고 셰일가스 등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안전 최우선의 원자력 발전을 통해 에너지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
□ APEC 에너지장관회의(EMM : Energy Ministerial Meeting)는 에너지효율 증진,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전략적 대응을 통해 아·태지역 에너지 안보 강화방안을 논의하는 장관급 회의임
○ 전 세계 GDP의 52%, 에너지수요의 60%를 차지하는 만큼 APEC의 에너지정책방향은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침
○ 조석 차관은 동 회의에 참석하여 한국은 증가하는 에너지수요와 이산화탄소 감축이라는 도전적 과제에 대응한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해결방안으로 원자력발전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 최근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점검 등을 통해 신뢰성과 투명성을 인정받는 국제적 우수사례를 창출하고 있음을 소개
* IAEA는 5.29∼6.7 월성 1호기 안전점검을 시행하고 ‘우수’평가를 내림
□ 장관회의는 물론 민·관 라운드테이블*에서는 셰일가스 개발 등 새로운 에너지원의 역할 증대와 이에 대응하는 전략 마련의 필요성이 대두
* 민·관 라운드테이블은 정부측 인사 외 가즈프롬, GE 등 주요 에너지기업, APERC 등 민간측이 함께 참여
○조석 차관은 한국은 현재 미국·캐나다·호주 등 해외 가스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역내 가스 개발과 교역 확대에 대비하고 있음을 소개하고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최소화하고 주변 지역의 수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과 역내 셰일가스 개발 잠재력에 대한 APEC 차원의 공동연구를 제안
○아울러 역내 국가들간에 가스교역의 자율화 증진을 위한 공동노력 및 가스산업 관련 안전, 환경규제 등의 개선을 위한 협력 확대와 경험 공유가 필요함을 강조
□ 또한 기후변화 대응과 에너지안보,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이 재확인된 가운데,
* 2011 미국 호놀룰루에서 개최된 APEC 정상회의에서 총 에너지원단위를 ‘05년 대비 ‘35년까지 45% 낮춘다는 목표를 설정
○ 한국은 녹색성장 달성을 위한 한국의 에너지효율목표*를 소개하고
* ’30년까지 ‘06년 대비 에너지원단위를 47% 개선
○ 특히 스마트그리드*분야의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APEC 스마트 커뮤니티 이니셔티브(ASCI:Apec Smart Community Initiative)를 주도하는 등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정책을 제시
* 스마트그리드 : 기존 전력망에 IT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간 양방향으로 실시간 전력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절약, 신재생에너지 보급, 전기차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차세대 전력망
□ 이와 아울러 조석 차관은 장관회의 기간 동안 러시아·미국·캐나다·태국·베트남 등 아·태지역 주요국 에너지장관과의 양자면담을 통해 신재생, 원전, 자원개발, 에너지기술, 인력교류 등 다양한 차원의 협력 사업들을 논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