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NRF, '빛으로 길이를 잰다고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연구재단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2-06-28
  • 등록일 2012-06-28
  • 권호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첨단 과학기술의 개념과 원리를  명확하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문가가 알기 쉽게 소개하는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을 6월 29일(금)오후 6시 30분에 △서울 △부산 △대전 △광주 △대구 등 5개 도시에서 동시에 개최한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금요일에과학터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최신 연구성과를 국민과 함께 나눠우리나라의 올바른 과학문화 구축과 확산에 기여하고자 2007년 2월부터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국가대표 교육기부 사업이다.

 

□ 서울 정독도서관(종로구 북촌길)에서는 서울개일초등학교 이기정 교사가 ‘과학퀴즈 골든벨(1차)’이라는 제목으로 도입강연을, 인하대학교 이승걸 교수가 ‘빛으로 세상을 보다! 빛으로 세상을 재다!’라는 주제로 본 강연을 한다.



○ 이승걸 교수는 빛을 이용한 광 측정기술의 원리를 통해 만들어진 천체망원경, 광현미경 등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사례를 살펴보고, 광 측정기술을 생명공학에 접목하여 세포의 분자를 측정하는 원리를 소개한다.



□ 부산 금정도서관(금정구 금정도서관로)에서는 ’물아, 나랑 놀자1’라는 제목으로 낙동중학교 조미애 교사가 도입강연을, 아주대학교 최경숙 교수가 ‘세포는어떻게 죽을까?’라는 제목으로 본 강연을 진행한다.



○ 최경숙 교수는 암세포 이외에 정상세포까지 손상시키는 방사선 치료나 화학요법과 같은 현재의 치료법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치료제 연구현황을 설명한다.



□ 대전 교육과학연구원(유성구 대덕대로)에서는 ‘흔들어 주세요! 변신!’이라는 제목으로청란여자고등학교 장래혁 교사가 도입강연을, ‘알루미늄의 양극산화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이우 박사가 본 강연을 실시한다.



○ 이우 박사는 다른 중금속에 비해 독성이 거의 없고 가벼워 다양하게활용되는 알루미늄의 역사 및 기본적인 물성에 대해서 알아보고,부식에 취약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양극산화)에 대해 설명한다.



□ 광주 교육과학연구원(동구 운림길)에서는 ‘과학퀴즈 골든벨(1차)’이라는제목으로 봉산초등학교 신옥철 교사가 도입강연을,‘지구 위에 태양을 만들다’라는 제목으로 서울대학교 나용수 교수가 본 강연을 한다.



○ 나용수 교수는 많은 양의 청정에너지를 개발할 수 있는 핵융합에너지발전의 원리와 장점 및 해결해야할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최첨단 핵융합 연구장치인 KSTAR와 세계 최대의핵융합 실험로 ITER 건설을 위한 국제공동 프로젝트에 대해서도 강의한다.



□ 대구 중앙도서관(중구 문화길)에서는 ‘광합성에 대하여’라는 제목으로 경북대학교 임영진 교수가 도입강연을, ‘놀라운 탄소나노물질의 세계’라는 제목으로 한양대학교 이휘건 교수가 본 강연자로 나선다.



○ 이휘건 교수는 최근 꿈의 신소재라 불리는 ‘그래핀’과 같은 탄소나노물질에 대해 강연하고, 이 물질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소자 제작에 응용하는 방법과 태양전지와 같이 실생활에 적용하는 여러 가지 사례를 소개한다.

 

□ ‘금요일에 과학터치’ 강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sciencetouch. net)에서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트위터(www.twitter.com@sciencetouch)를 팔로우하면매주 최신 강연소식을 신속히 받아볼 수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