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우리산업의 장래 먹거리, 미래선도기술개발 본격 착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2-07-11
  • 등록일 2012-07-11
  • 권호

- 디스플레이, 해양플랜트, 인쇄전자 분야 사업단 선정 -


- 총 77개 중소·중견기업이 참여, 동반성장 R&D 생태계 구축 -

 

  ◇ 투명플렉시블 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아바코, 피엑스디 등

  ◇ 심해자원 생산용 해양플랜트: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GS건설, Khan 등

  ◇ 인쇄전자용 초정밀 생산시스템: 삼성전자, 주성엔지니어링, LG디스플레이, 하이쎌 등



□ 지식경제부와 R&D전략기획단이 지원하는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 사업자로 LG디스플레이·아바코·피엑스디 컨소시엄(투명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GS건설·Khan 컨소시엄(심해자원용 해양플랜트), 삼성전자·주성엔지니어링·LG디스플레이·하이쎌 컨소시엄(인쇄전자)이 각각 선정되었음. 


 ○ 이들 3개 사업단에는 77개의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기업에 지원되는 정부지원금 중 67.5%가 이들 중소·중견기업에게 지원(대기업은 32.5%)되어 대형 미래기술 분야에서 동반성장할 수 있는 R&D 생태계를 구축함. 

   * 유형별 참여기관(총 154개. 세부과제 중복 참여 포함)

    - 중소·중견기업 77개, 대기업 31개, 연구기관 15개, 대학 31개 등  


□ 지식경제부와 R&D전략기획단은 7.11(수) 오전 10:30, 교육문화회관에서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 황창규 R&D전략기획단장, 3개 사업단 소속 기업 및 기관 대표 등 약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 사업단 출범 및 협약식을 가졌음.

 * 미래산업선도기술개발사업 : 우리나라의 새로운 미래 먹거리 산업을 창출하고, 산업 파급효과가 큰 「국가선도사업(Future Flagship Program)」 으로 추진


□ 미래산업선도기술은 R&D전략기획단이 각계 전문가 700여명의 의견을 모아 발굴한 과제들로, 6년 내외의 개발기간을 거쳐 사업화에 성공하면 매출 260조원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기대효과(‘25년) : 매출 260조원, 수출 210조원, 고용 26만명, 설비투자 유발 65조원




□ 이날 협약체결과 함께 사업단이 출범함으로써 미래산업선도기술은 향후 6년여의 기술개발 단계에 본격적으로 돌입하게 되며, 각 사업단에는 사업기간동안 550∼800억원의 사업비가 지원될 예정임.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