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과학벨트 중이온가속기, 한-미 가속기협력센터 설치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2-08-07
  • 등록일 2012-08-08
  • 권호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핵심 연구인프라로 구축되는 중이온가속기(’17년 완공)의 상세설계가 진행되는 가운데 선진 가속기 기술을 보유한 미주지역 가속기연구소와의 협력을 위한 교두보가 마련된다.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8월 7일 미국 일리노이州 페르미국립가속기연구소(소장 P. Oddone) 내에 ‘한-미 가속기협력센터(Korea-US cooperation center for accelerator science)'를 설치하고 중이온가속기 구축 관련 협력활동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 이번 ‘한-미 가속기협력센터’ 개소는 올해 6월 체결된 기초과학연구원(원장 오세정)과 페르미연구소 간 협력 MoU에 따른 것으로,


○ 지난해 5월 한국 교과부와 미국 에너지부 간에 ?고에너지 및 핵물리 분야 협력 시행약정?을 체결한 이후 양국 간 진행된 가속기 분야 협력 노력의 첫 번째 성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 동 센터가 설치되는 美페르미연구소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양성자가속기인 테바트론(TEVATRON)을 구축ㆍ운용하고 있는 세계적인 가속기연구소이다.

○ 최근에는 중성미자 검출을 위한 초전도 선형가속기 개발 프로젝트(Project-X)를 추진 중에 있어 과학벨트 중이온가속기의 핵심 장치인 초전도가속관의 공동개발을 추진하는데 최적의 협력대상이다.



□ 동 센터는 향후 美페르미연구소뿐만 아니라 미국 아르곤연구소, 미시건주립대, 캐나다 TRIUMF 등 북미 지역 가속기그룹과의 기술ㆍ인력 교류 및 가속기 공동개발을 위한 협력 거점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 특히, 중이온가속기 구축을 필요한 전문인력 확보를 위해 동 센터를 중심으로 매년 10여명의 석ㆍ박사급 신규인력을 미주 지역 가속기연구소에 파견ㆍ양성해 나갈 계획이다.



□ 8월 7일 오후 2시30분(현지시각)에 개최되는 개소식 행사에는  UKC와 관련하여 현재 미국을 방문 중인 조율래 교육과학기술부 제2차관이 참석하여 축사할 예정이며,

○ 이 외에도 김선기 중이온가속기구축사업단장, 페르미연구소 P. Oddone 소장, 김영기 부소장을 비롯한 양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하여 동 센터의 비전 및 운영계획 등을 발표한다.



□ 지난 5월에는 기초과학연구원과 독일의 최대 중이온가속기 연구소인 GSI와 기초과학연구원 간에 협력 MOU을 체결한 바 있으며,


○ 교과부는 향후에도 미국, EU, 일본, 캐나다 등지의 우수한 해외 가속기연구소와의 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