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2단계 연구중심대학 육성(BK21)사업의 사업단(팀) 종합평가 결과 및 주요성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2-09-05
  • 등록일 2012-09-05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지난 5월부터 약 4개월간 각 분야별로 구성된 전문가 평가를 통해 “2단계 연구중심대학 육성(BK21) 사업”으로 지원받은 사업단(팀)의 지난 6년간의 실적에 대한 종합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와 주요성과를 발표하였다.



○ 2단계 BK21 사업 1∼6차년도(‘06∼’11년) 각 사업단(팀)의 분야별*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 결과,

- “매우우수” 등급은 186개(37.2%)이고, “우수” 등급은 240개(48%), “보통” 등급은 68개(13.6%), “미흡” 등급은 6개(1.2%)로 총 500개 사업단(팀)중 494개 사업단(팀)(98.8%)이 “보통” 이상을 받아 전반적으로 사업성과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교육/연구/산학협력/대학원특성화 등


□ 교육과학기술부는 오늘 발표한 2단계 BK21 사업 종합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 사업단(팀) 및 참여자에 대해서는 포상을 실시하고, 우수 성과*에 대해서는 성과 전시회를 개최(‘12년 10월중)하여 연구성과 확산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사업단) KAIST BK21 생물사업단(참여교수 1인당 SCI(E)급 IF 6.07 - 타사업단 평균 2.98), (사업팀) 경희대 디스플레이응용 프린팅사업팀(특허 출원ㆍ등록 23건, 연구비 수주실적 23억원 - 타 사업팀 평균 특허 출원ㆍ등록 2건, 연구비 수주실적 2억원), (참여 대학원생) 서울대 생명과학고급인력양성사업단의 허인하 박사(NSC급 논문 5편, SCI급 4편, 국제학술대회 발표 8건)





< 주요 성과 및 한계 >



□ 2단계 BK21 사업의 사업단(팀)별 지난 6년간의 실적을 종합한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다.



○ 우선 과학기술분야 SCI(E)급 논문수는 지난 6년간 참여교수가 15.7%, 신진연구자가 38.1%, 참여대학원생이 6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당초 선정된 사업단수가 점차적으로 감소(69개 사업단)한 것을 감안하면 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참여교수 : ('06년) 20,418건 → ('11년) 23,619건, 15.7% 증가

* 신진연구자 : ('06년) 1,619건 → ('11년) 2,235건, 38.1% 증가

* 참여대학원생 : ('06년) 8,976건 → ('11년) 14,613건, 62.8%증가

* 사업단(팀) 수 : ('06년) 569개 → ('12년) 500개, 69개 사업단(팀) 탈락


○ 2단계 BK21 사업은 양적인 측면에서의 성과도 우수하지만, 질적인 측면에서도 상당한 성과를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 과학기술분야의 참여교수, 참여대학원생, 신진연구자의 발표논문 1건당 IF(Impact Factor, 인용지수)는 지난 6년간 각 각 37.3%, 42.8%,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는 우리나라 대학 과기분야 전체 교수의 1건당 IF가 ‘06∼’10년(5년간)까지 11% 증가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참여교수 : ('06년) 2.17 → ('11년) 2.98, 35.9% 증가

* 참여대학원생 : ('06년) 2.08 → ('11년) 2.97, 37.3%증가

* 신진연구자 : ('06년) 2.32 → ('11년) 3.04, 31% 증가

* 우리나라 대학 전체 교수의 SCI논문 1건당 IF : ('06년) 2.06 → ('10년) 2.29, 11% 증가



□ 또한, 참여대학원생의 취업률도 매년 91% 이상으로 나타난 반면, 전체 대학원생의 평균 취업률은 78%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 5차년도('10년)부터는 전체 대학원생들의 취업률은 급격히 감소한 반면, 참여대학원생의 취업률은 오히려 증가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참여대학원생 취업률 >





















































구분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4차년도



5차년도



6차년도



BK21


사업



취업대상자



7,060



5,908



7,082



7,694



7,512



7,638



취업자



6,495



5,482



6,510



7,030



6,908



6,966



취업율



92.0%



92.8%



91.9%



91.4%



91.9%



91.2%



일반대학원 취업률

(취업통계연보, KDI)



81.9%



81.7%



81.6%



79.9%



70.7%



72.1%






□ 한편, 선정당시 제시한「전임교원 확보율」을 달성하지 못한 14개 대학에 속한 사업단(팀)의 지원금 일부를 삭감하고, 전임교원 확보율이 미흡한 대학의 사업단(팀)은 종합평가 결과 우수 사업단(팀)에 수여하는 포상 대상에서 제외할 방침이다.




○ 아울러, 신진연구인력 자격요건 미달 및 신진연구인력의 자교출신자 참여 상한비율을 지키지 않은 사업단(팀)에 대해서는 해당 인건비 지원금 만큼 감액할 예정이다.

* 전임교원 확보율 미달 대학(14개, 666백만원 감액)

* 대응자금 미확보 사업단(팀)(24개, 323백만원 감액)

* 사업단 구성원 부적정 사업단(팀)(11개, 210백만원 감액)



□ 또한, 매년 실시되는 단기 성과위주의 양적 평가로 인해 논문의 양적 성장은 있었으나 장기적으로 더욱 수준 높은 연구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도 있었다.





< 향후계획 >


□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006년부터 7년간 수행해온 2단계 BK21 사업이 내년 2월에 종료될 예정임에 따라,




○ BK21 사업을 WCU 사업과 통합하여 ‘13년부터 새롭게 후속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후속사업 추진시 오늘 발표한 종합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 기존 사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계승ㆍ확산하는 한편, 국내 대학원의 교육ㆍ연구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