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R&BD 전문인력 양성으로 대학 산학협력 지원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2-09-05
  • 등록일 2012-09-05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대학 R&BD(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 담당 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체계적인 전문교육 및 자격제도를 2013년도부터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R&BD 전주기성(연구기획ㆍ연구관리→특허획득, 기술이전ㆍ창업)에 상응하는 교육ㆍ자격체계를 마련하여 대학내 산학협력체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 특히, 대학 커리큘럼 및 민간협회 교육프로그램도 활용하여 자생력을 갖춘 산학협력 교육생태계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 그동안 대학의 연구성과는 효율성* 측면에서 많은 지적을 받아왔고, 그 원인으로 대학 연구의 시장지향성 부족, 기술발굴 및 사업화(기술이전 및 기술창업)에 대한 전문성 취약이 거론되었다.

* 연구비 회수율은 0.948%(398억원/3조,9894억, ’10년 기준)에 불과

* 연구비 회수율 = (기술이전 수입료/과학기술분야 연구비)×100 



○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등에서 연구성과 확산 및 산학협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지원인력사업을 진행하였으나 일시적ㆍ소규모로 진행되어 사업효과를 체감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 이번 산학협력 전문성 제고방안에는 ①직무 및 직급별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설계, ②관련 민간협회와 공조한 교육프로그램 인증 실시, ③산학협력 자격제 도입으로 전문인력의 장기재직 유도 및 취업기회 확대에 중점을 두었다.



○ (맞춤형 교육프로그램) R&BD 각단계에 따른 수준별ㆍ계층별 커리큘럼을 설계ㆍ제공

- 정부기관 및 대학MOT 과정, 관련 민간협회(이하 관련기관)가 당해 커리큘럼을 참고하여 다양한 과정을 개설하도록 지원

- 과정이수 등 이력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학습계좌제 마련


○ (교육프로그램 인증) 관련기관의 교육프로그램을 평가ㆍ인증하여 질 높은 교육제공, 교육비 보조 및 자격취득코스로 활용


○ (산학협력 자격제 도입) 전문성을 객관적으로 인정하는 자격제도를 개발ㆍ운영하고 기존의 관련자격과도 상호연계

- 자격은 교육과정 이수 및 현업실적을 기준으로 부여하고, 보유현황을 대학정보공시, 산학협력사업의 평가항목과 연계



□ 교과부는 산학협력 관련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해, 관련 정부 및 민간기관과 함께 ‘(가칭)산학협력 교육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프로그램의 공동개발 및 자격의 상호인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교육비용을 고용보험기금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학의 교육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 교과부는 ‘12년 하반기에 한국연구재단을 통해 교육프로그램 설계, 인증ㆍ자격제를 마련하여 ’13년 상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교과부는 대학의 R&BD을 담당하는 교직원 및 연구원 등 연 2,000명 정도가 동 교육프로그램을 이수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 또한, 전문자격 보유 인력을 ‘17년까지 1,000여명 내외를 양성ㆍ배치하여 대학 연구역량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 교과부 관계자는 각 부처별로 진행되던 ‘연구 및 기술사업화 관련 지원인력 양성사업’이 이번 방안을 통해 통합인프라를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