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보건부, 국립보건연구원, 아시아 가입국 최초로 국제인간후성유전체컨소시엄(IHEC)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보건복지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09-06
  • 등록일 2012-09-06
  • 권호

□ 질병관리본부(본부장:전병율) 국립보건연구원(원장:조명찬)은 9월 6일~8일3일간 서울 프라자호텔 다이몬드 홀에서 아시아 가입국으로는 최초로 국제인간후성유전체컨소시엄(International Human Epigenome Consortium, 이하 IHEC)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 IHEC는 미국국립보건원(미국 NIH)이 선도하여 유전체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찾기 위한 후성유전체연구 분야에 대규모 표준후성유전체데이터 확보 및 분석을 위한 국제컨소시엄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2010년 발족하게 되었으며, 

○ 현재, 향후 5년간 미화 1000만 불 규모 이상의 후성유전체 데이터를 생산,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자격조건을 갖춘 미국 NIH, EU Blueprint, 일본,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한국 등 7개국이 정식 가입되어 후성유전체 데이터를 공동 이용할 계획이다.


※ 프랑스, 영국, 호주, 중국은 업저버로 가입하여 향후 정식회원국으로 활동 예정



□ 금번 서울에서 개최되는 IHEC는 IHEC 사업의 진행방향과 각국후성유전체 연구의 최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써, IHEC 소속 전 세계 연구자들과 함께 1년간 진행되었던 연구결과와 향후 비전을 공유한다.



○ 컨소시엄의 주 안건은 IHEC 공동연구의 체계와 조직 확정, 2013년 이후 발전방향 모색 등이며,

- 9월 6일(목)에는 회원국 등 관계자 100여 명과 함께 IHEC 가입국의 경과보고와 향후계획을 논의하고,

- 9월 7일(금)에는 국내 연구자 200명을 포함하여, IHEC 소속 후성유전체연구 과학자들의 최신 연구동향 발표 및 공동연구교류를 위한 회의,

- 행사 마지막인 9월 8일(토)에는 한-일 IHEC 공동연구에 관한 회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IHEC 개최를 통해 향후 후성유전체연구의 중심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 국제 후성유전체 연구 과학자들과의 정보교류와 협력연구 추진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후성유전체연구에 대한 질병예측 마커 정보 및 분석기술 교류를 통해 국내 인간후성유전체연구를 활성화 할 계획이다.

 

□ IHEC은 향후 5년간 인체구성 세포 250여종을 대상으로 1,000여종의 표준후성유전체 지도를 작성하여, 건강 및 질병에 관련된 후성유전변이를 발굴하는데 중요한 기반정보로 사용할 계획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