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국과위, 내년도 R&D분야에 16.9조원 투자 확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2-09-27
  • 등록일 2012-09-27
  • 권호

미래 성장잠재력 확충 R&D지원과 투자 효율화 중심의 국과위 배분·조정(안) 대부분 반영

- 국과위, 오늘 '2013년도 R&D 예산 편성(안)' 본회의 보고-


□ 국가과학기술위원회(위원장 김도연, 이하 국과위)는 '2013년도 R&D 예산 편성(안)' 을 9월 27일 오전 국과위 중회의실에서 개최되는 제24회 본회의에 보고한다.


□ 내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은 '12년 대비 5.3% 증가한 16조 8,744억원 규모로, 이는 '13년도 정부 총 재정지출 342.5조원의 4.9%에 달하는 수준이다.


○ 이중 국과위가 배분·조정한 주요 R&D 사업* 예산은 전년대비 4.3% 증가한 11조 1,489억원으로,

* ① 5년이상 중장기 대형사업, ② 미래성장동력 창출, ③ 기초과학분야, ④ 유사·중복, 연구시설·장비 구축사업 등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 제21조③)



- 지난 8월 국과위가 제출한 11조 529억원 규모 주요 R&D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이 거의 대부분 정부 예산(안)에 반영되었으며,


※ 예타선행 필요사업 등 공통기준 적용사업에 △71억원 삭감조정


- 국과위(안) 제출 이후 발생한 R&D 재정여건 변동에 따라 주요 R&D분야에 960억원이 증액 배정 되었다.

※ 증액분은 예비타당성 조사완료결과 등을 반영한 신규 사업을 포함하여 녹색기술사업, 신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R&D 사업 등에 배정


○ 그 외 국방·인문사회 R&D 등 일반 R&D사업에 대해서는 전년대비 7.2% 증가한 5조 7,256억원의 예산이 편성되었다.


□ 부처별로는 과학비즈니스벨트, 발사체·가속기 등 대형사업 본격화로 단일부처 R&D예산 5조원 시대를 연 교과부(5.2조원), 신성장동력 R&D중심의 지경부(4.8조원), 국방핵심기술로 미래 국가안보를 담보하는 방사청(2.5조원)이 전체 R&D예산의 4분의3 가량을 차지하며(73.9%),


◇ 교과부 : ('12) 49,753 → ('13안) 52,236억원 (5.0%증)

◇ 지경부 : ('12) 47,448 → ('13안) 47,709억원 (0.5%증)

◇ 방사청 : ('12) 23,210 → ('13안) 24,704억원 (6.4%증)


○ 교통·물류·해양분야 R&D가 확대된 국토부(28.0%증), 창업기업 및 융복합 기술개발 등을 중심으로 투자가 확대된 중기청(9.6%증), 원자력 안전강화 R&D 지원이 확대된 원안위(20.3%) 등의 예산이 '12년에 비해 크게 증가되었다.


◇국토부 : ('12) 6,196 → ('13안) 7,931억원 (28.0%증)

◇ 중기청 : ('12) 7,150 → ('13안) 7,837억원 (9.6%증)

◇ 원안위 : ('12) 562 → ('13안) 676억원 (20.3%증)


□ 국과위와 기재부는 '13년도 R&D예산 배분·조정 및 편성과정에서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창조적 R&D분야에 투자를 확대하고, 모든 사업에 대한 원점 재검토를 통한 사업 조정 및 낭비요인 제거, 불요불급한 시설투자 억제 등 R&D투자의 내실화를 추진했다고 밝혔다.


○ 먼저 창의적 연구중심의 기초·원천 연구비중을 확대하고, 녹색·신성장동력 기술 등 국정과제의 투자목표를 달성하여 녹색성장 견인과 함께 미래 핵심기술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했다.

※ 기초·원천 연구비중 : ('11) 47.4% → ('12) 50.3%→ ('13안) 50.5%

※ 녹색기술 투자(조원) : ('11)2.5 → ('12) 3.0  → ('13안)3.6

※ 신성장동력 R&D(조원) : ('11)2.2 → ('12)2.8 → ('13안)3.5


- 특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차질없이 지원하고, 한국형발사체, 4세대 방사광가속기 등 거대과학분야에 대한 지원을 강화했다.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억원) : ('12) 2,200 → ('13안) 2,633


○ 그리고, 산업지원 R&D의 전략적 투자로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였다.

- 중소기업 역량강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업초기, 핵심기술개발, 사업화 등 중소기업의 성장 단계별 R&D 지원을 강화했으며,

※ 중소기업 전용R&D(억원) : (‘12) 7,150 -> (’13) 7,837


-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청R&D⇒우수연구센터⇒World Class 300' 의 단계별 R&D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을 위한 투자를 대폭 확대하였고,

※ ATC(우수연구센터, 억원) : ('12) 542 → ('13안) 588

※ WC300프로젝트지원(억원) : ('12) 300 → ('13안) 550


- 산업간 융·복합 분야의 지원을 강화하고 IT 분야 등 기존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했다.

※ 나노융합 2020(억원) : ('12) 67 → ('13안) 183

※ 범부처 Giga Korea 사업 : ('13안) 신규 130억원


○ FTA시대를 맞이하여 농림·제약 등 취약분야에 대한 R&D지원을 확대하고, 서비스 등 기회산업의 시장선점과 무역기술장벽에 대응한 미래기술 국제표준 선점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서비스 R&D  및 표준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지원했다.

※ Golden Seed 프로젝트(억원) : ('12) 25  → ('13) 270

※ 서비스 R&D(억원) : ('12) 640  → ('13) 777

※ 산업기술표준화및인증지원(억원) : ('12) 310  → ('13) 359


○ 국민건강, 안전, 재난·재해 등 사회적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공공 R&D 분야에도 지원을 확대했다.


-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구현을 위해 원자력 안전, 먹거리 안전 및 의약품 안전관리 R&D에 대한 투자 강화와 더불어,

※ 원전 안전 및 전염병 예방 R&D 분야(억원) : ('12) 1,113 → ('13안) 1,403


- 100세 시대에 대비한 건강수명 연장, 사회적 약자의 자립생활 지원 등을 위한 국민체감형 R&D와

※ 국민편익증진기술개발사업(억원) : ('12) 55 → ('13안) 100

※ 여성건강융복합기반기술개발연구(억원) : ('12) 5 → ('13안) 15


-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방재기술 R&D에도 투자를 확대했다. (680→864억원)


□ 김도연 국과위 위원장은 "국과위는 R&D예산 배분·조정 2년차를 맞아 한정된 재원으로 최대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투자효율화에 최우선적으로 노력하였으며, 균형재정 조기달성과 복지수요 확대 등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재정당국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13년도 R&D예산을 금년대비 5.3% 확대할 수 있었다" 고 밝혔다.


○ 또한, "어려운 여건에서 국민들이 마련해주신 연구비에 감사드리며, 동 자금의 투명하고 공정한 집행과 세계적 연구성과 창출로 국민들께 보답하겠다" 라고 말했다.


□ 한편, 기재부는 이날 보고된 R&D 예산 편성안을 포함한 '13년 정부 예산 편성(안)을 10월 2일(화)까지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