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나노기술연감2011' 발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10-10
  • 등록일 2012-10-10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2011년 한 해 동안의 나노기술정책과 연구개발활동 및 산업화 현황 등을 담은 ‘나노기술연감 2011’을 발간했다고 10월 10일에 밝혔다.


□ 나노기술은 21세기 국가 과학기술경쟁력의 제고와 경제ㆍ사회의 지속적인 발전, 그리고 IT, BT, ET 등의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국가 전략산업을 한층 고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 핵심기술로 평가되고 있어 한국 뿐 아니라 주요 선진국들 역시 막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 이에 정부는 ‘01년에 제1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을 시작으로 나노기술분야에 대해 지난 11년 간 약 2조 6,232억원을 전략적으로 투자하여 SCI 논문 게재수는 세계 4위, 미국 공개특허 등록건수는 세계 3위의 눈부신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또한 미국의 Lux Research는 한국의 나노기술 경쟁력을 미국, 일본, 독일 다음의 세계 4위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 특히 지난해에는 ‘제3기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11~‘20)’을 수립하여 미래사회 수요 해결을 위한 나노기술개발, 나노기술 연구개발의 사회적·윤리적 책무성 강화, 나노기술 전문인력 양성, 나노인프라 운영 활성화 등을 범부처적으로 중점 추진하고 있다.


□ ‘나노기술연감 2011’에는 한국의 나노기술이 양적ㆍ질적으로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그간 정부가 기울인 정책적 노력과 나노기술 연구자들의 성과, 민간의 연구개발활동 등이 담겨 있으며,


○ 한국을 둘러싼 주요국의 나노기술 정책동향 및 OECD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나노기술의 환경ㆍ보건ㆍ안전(EHS) 활동 등 최신의 자료들이 정리되어 있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