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 나도 이제 지식재산권의 Young Meister!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2-10-23
  • 등록일 2012-10-23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이 산업현장에서 직무발명을 책임질 영 마이스터로 성장할 수 있도록,

○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팀이 제안한, 산업현장과 제품의 혁신 아이디어에 대해 특허 출원 등 권리화를 지원하는「IP-Meister 프로그램」에 참가할 30개의 학생팀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IP-Meister Program이란?】


◈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협력기업이 제시한 현장 혁신과제 또는 학생이 선택한 과제에 대해 팀별로 문제해결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 우수한 아이디어를 선정, 선정된 아이디어에 대해 기업 및 특허전문가와 협력하여 지식재산권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컨설팅 및 특허출원 등 권리화를 지원하는 과정을 통해

◈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들이 지식재산 창출 역량을 지닌 지식근로자(Knowledge Worker)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

◈ 11년 마이스터고를 대상으로 동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선정된 20개의 아이디어 모두에 대해 출원 완료

- 특히, 울산마이스터고의 경우 협력기업이 제안한 과제를 해결하여 특허 출원하고 기업에 기술을 이전, 기업은 장학금을 지원하고 학생 채용

* IP(Intellectual Property, 지식재산권) : 발명ㆍ상표ㆍ디자인 등의 산업재산권과 음악ㆍ미술ㆍ작품 등에 관한 저작권을 총칭




※ (총괄)교육과학기술부 (사업전담)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창출 지원)변리기관ㆍ선행기술조사기관



□ 특히, 올해에는 대상을 마이스터고에서 특성화고까지 확대하여, 518개 팀이 아이디어를 공모했고,

○ 인큐베이터가 일체화된 복합부화기(상산전자고-세실산업)ㆍ하이패스 콘센트(수도전기공고-일진전기)ㆍ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마모방지 로터(울산마이스터고-JM모터스) 등 협력기업 제안 과제에 대한 혁신 아이디어와

○ 곱창밴드 손목시계(미래산업과학고)ㆍ건조식 블라인더(영신간호 비즈니스고)ㆍ이산화탄소 소화 수류탄(부강공고)ㆍ렌즈 탈부착 고글(합덕제철고) 등 학생들이 접하는 제품 등에 대한 혁신 아이디어 등

○ 독창성과 권리화ㆍ상품화ㆍ사업화 가능성이 높은 30개팀(마이스터고 16개팀, 특성화고 10개팀, 발명특성화고 4개팀)의 아이디어를 선정하였다.

* 선정팀(학교) 명단 : 붙임 1 자료 참고




□ 이번에 선정된 30개 학생팀에게는, 2박 3일의 소양캠프(’12.10.26(금)~28(일), 대전)와 변리사 등 전문가의 온라인 지도ㆍ찾아가는 컨설팅 지원을 통해, 제안한 아이디어가 특허ㆍ실용신안으로 출원될 수 있도록 하고,

* 지식재산권 출원 시, 발명자ㆍ출원인은 아이디어 선정팀 참여학생으로 함

○ 기업 관계자와 기술이전 상담 지원과 ‘직무발명 경진대회(’13.1월)’ 개최를 통해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이 제안한 아이디어가 현장에서 활용되고, 우수 사례가 널리 전파되도록 할 계획이다.




□ 동 사업은, 직무발명 과정과 지식재산권을 이해하고 있는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이 산업현장에서의 혁신을 주도하여,


○ 대한민국의 산업경쟁력을 한층 업그레이드하는 지식근로자*(Knowledge Worker)로 성장 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 Knowledge Worker : 지식재산ㆍ기업가 정신ㆍ평생학습정신ㆍ창의성 및 유연성 등을 갖춘 근로자(피터드러커, 1968)


○ 또한,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에 대한 프로젝트 수업 등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등, 중등단계 직업교육이 창의성 높은 현장인력을 길러내는 교육으로 전환하는 촉진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심사에 참여한 변리사들도,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기대한 것보다 더 우수하고 참신해서 학생들의 역량에 놀랐고, 협력기업의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등 활발한 산학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것에 한 번 더 놀랐다.”면서,

○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에서 이러한 교육을 받은 인력을 길러낸다면, 대한민국 산업의 미래는 밝다. 대한민국 산업의 기술혁신을 위해서도 이러한 교육이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들이 대한민국 산업현장의 혁신을 선도하도록, 한국발명진흥회와 협력하여 동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며,

○ 발명과 지식재산권 관련 교재와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시행하고 있는 특허청과도 특성화고ㆍ마이스터고 학생의 직무발명 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MOU 체결도 추진할 예정임을 밝혔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