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KRCF, 제3회 서울과학기술 포럼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기초기술연구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2-10-30
  • 등록일 2012-10-30
  • 권호

세계 30여개국 정부 및 출연연 관계자,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은 국제협력과 혁신 역량 강화 창구 역할 해야

- 11월 1일부터 3일까지 제3회 서울과학기술포럼 개최 -

- 기초기술연구회, KIST, STEPI 공동 주최, 세계 유일의 출연연 모임 -


 


□ 기초기술연구회(이사장 김 건)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원장 문길주), 과학기술정책연구원(원장 송종국)은 2012년 11월 1일(목)부터 11월 3일(토)까지 3일간 서울 플라자호텔(11월 1일~2일)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11월 3일)에서 제3회 서울과학기술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국제협력단의 후원 하에 “공공연구기관의 새로운 역할 - 혁신역량 공유( A New Roles of PRIs - Sharing Innovation Capacities)”를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포럼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30개국※ 정부 관계자 및 공공연구기관 기관장 등 170여명이 참석하여 전 지구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개별 국가의 과학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서울과학기술포럼은 세계에서 유일한 과학기술 분야 공공연구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들간의 행사로, 이 행사에 참가하는 국가 및 기관은 지구적인 문제(Global Challenges)를 시급한 과제인 동시에 메가트렌드로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 능력을 갖추기 위하여 각국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과학기술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각국의 현황에 맞는 연구 동반자를 적극적으로 물색하려는 강한 동기의식을 가지고 있다.



□ 이번 포럼에서는 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필수요소를 하드웨어(시설 및 장비), 소프트웨어(인적 자원), 전략, 세 가지로 정의하고,


○ 하드웨어에서는 사이언스 파크나 혁신 클러스터, 공공연구기관, 연구소 및 센터, 연구중심대학, 연구시설/장비, ICT 인프라 등에 대하여(세션 2),

○ 소프트웨어에서는 우수한 인적 자원을 보유하기 위한 교육, 단/중/장기 훈련, 현장 교육, 장비 운영 노하우, 이공계 대학원생과 퇴직 과학자 및 엔지니어, 이에 대한 우수 사례에 대해 논의하고(세션 3),

○ 전략은 혁신을 위한 다양한 주체와 요소간의 협력을 이끌어내는 동인이므로 이를 위한 적절한 개발 방향, 주어진 조건에 대한 분석, 혁신 마스터플랜 수립, 혁신 전략과 경제 및 산업 정책간의 조율, 정책과 행정능력 강화, 관련법 및 규정 제정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세션 1)된다.

○ 세션 4에서는 녹색기술 공유를 위하여 녹색 기술의 범위,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공유, 새로운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 중점 연구분야, 기대성과 등에 대해 논의한다.


□ 포럼의 마지막 날인 11월 3일 KIST에서 개최되는 파트너쉽 페어에서는,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매칭을 통하여 우리나라와 상대국간의 과학기술 협력 가능성을 타진하게 되는데, 현재 총 13개 기관이 면담을 요청하였다.

○ 파키스탄 과학재단에서는 기초기술연구회와 과학기술 공동협력연구 개발사업 추진 여부를 타진하고,

○ 탄자니아와 카메룬, 스리랑카는 KIST, STEPI와 과학기술 혁신정책을 포함한 폭넓은 협력 가능성을 모색할 예정이며,

○ 그 밖에 불가리아, 폴란드, 독일(프라운호프 비파괴시험연구소), 라오스, 미얀마, 멕시코, 부르나이 등이 구체적인 분야에서의 공동연구 추진에 관심을 표명하였다.

 

□ 지난 두 번의 포럼을 통해 지구적 문제에 대한 공공연구기관의 역할과 국제협력을 필요성에 공감한 참가국 및 기관의 관계자들은 올해 행사를 통해 더욱 활발하고 적극적인 교류와 협력을 추진하고 실제적인 협력사례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