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융합시대의 로봇 R&D 효율화 방안』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11-13
- 등록일 2012-11-13
- 권호
□ 부처간·과제간 칸막이를 없애기 위해, 앞으로 로봇 R&D는 관련 정부부처와 산·학·연 로봇 전문가로 구성될 ‘범부처 로봇 R&D 협의회’(부처간) 및 ‘지경부 로봇 R&D 협의회’(지경부 내)에서 통합 관리될 예정임
□ 지식경제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융합시대의 로봇 R&D 효율화 방안』을, 로봇 R&D 부문의 73개 과제 담당자가 참여한「지식경제 로봇 R&D 통합 워크숍」에서 발표함
○ 로봇 기술의 융합적 성격 때문에 그간 여러 부처와 연구기관에서 다양하게 로봇 R&D 사업을 추진해온 결과 유사·중복성에 대한 지적이 많아,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서 동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게 됨
○ 동 효율화 방안은, ①범부처 차원의 역할 분담과 협력 체계 정립, ②지경부 내 로봇 R&D 통합체계 구축 및 융합형 과제 추진, ③출연연 등 로봇 연구기관*간 협력 및 전문성 강화 등을 위한 중점 개선책을 마련한 데에 의의가 있음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생산기술연구원(KITECH), 전자통신연구원(ETRI), 기계연구원(KIMM), 전자부품연구원(KETI),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 금번에 발표된 내용은 제2차 로봇산업정책협의회*(9.28 개최)를 통해 부처간 협의를 거쳤으며,「로봇 미래전략(2013~2022)」에서 제시한 R&D 거버넌스·추진전략도 반영하였음
* 로봇산업정책협의회 : 「지능형 로봇 개발 및 보급 촉진법」제5조의2에 의거, 관계 부처간에 로봇 개발·보급 정책에 관한 사항을 협의. 지경부 1차관(위원장) 및 14개 부처 국장급으로 구성
□『융합시대의 로봇 R&D 효율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상세 내용은 붙임파일 참조)
① 범부처 : 부처간 역할 분담과 협력 체계 정립
○ ‘로봇산업정책협의회’ 산하에 14개 부처 로봇사업 담당자 및 로봇관련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하는 ‘범부처 로봇 R&D 협의회’ 조직
○ 부처별 로봇 R&D 사업에 대한 사전 협의·기획을 통해 로봇 R&D 투자 목표·방향을 설정*하고 시범보급사업·제도개선 연계
* 국과위「2013년 정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 로봇분야 신규사업 추진시 범부처 협의체(로봇산업정책협의회) 운영을 통한 역할분담 및 공통기술 활용방안 등을 마련하여 추진
○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고, 부문별*로 부처간 공동 워크숍을 추진하며 다부처 공동 기획과제 발굴
* 5대 로봇 스타브랜드 : 제조, 의료, 에듀테인먼트, 사회안전, 라이프케어
② 지경부 : 로봇 R&D 통합체계 구축 및 융합형 과제 추진
○ 로봇 기술과 관련 있는 R&D 사업 담당자와 과제 담당기관이 참여하는 ‘지경부 로봇 R&D 협의회’ 조직
○ 로봇 R&D 통합 워크숍 개최, 통합 로드맵 수립 등을 통해 부내 로봇 사업간 정보 공유를 활성화하고 상호 기술 연계·이전 추진
* 신규과제 기획시 사전 협의, 로봇 과제 관리기관간 상시 협의체 운영, 과제 기획·진도점검시 관련 PD 참여 제도화 등
○ 로봇과 타 산업간 융합이 전제되는 다부서 참여 융합형 로봇 R&D 과제 발굴
③ 연구기관 : 로봇 연구기관들간 협력 및 분야별 전문성 강화
○ 6개 연구기관이 참여 중인 현 로봇연구기관협의체를 상설 협의체인 가상연구조직(Robot Virtual Lab)으로 재편
○ 로봇 연구기관간 로봇 R&D 과제의 사전 기획·협의, 연구 성과 및 기술 교류 등 강화
○「로봇 미래전략(2013~2022)」의 4대 로봇 도전과제 등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도전적 공익과제를 공동 R&D 프로젝트로 추진
○ 공동 기술 설명회(통합 Open Lab)를 개최하여 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의 산업계 이전·사업화를 촉진하고 기업 애로기술 공동 지원
□ 금번「지식경제 로봇 R&D 통합 워크숍」은 지경부에서 지원 중인 총 73개의 로봇 R&D 과제 담당자 35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통합 워크숍으로 개최됨
○ 특히, 전담 기관과 사업 목적이 다른 지경부 내의 로봇 R&D 과제 수행기관을 총 망라하여 개최함으로써 사업간 칸막이를 제거하고,
○ 여러 부서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던 로봇 R&D를 한 자리에 모아 관련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로봇 R&D의 유사·중복성을 지경부 전체 차원에서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
□ 지경부는 향후 동 효율화 방안을 적극 실행하고 로봇 R&D 통합 워크숍을 지속적으로 확대·개최함으로써, 로봇산업이 미래 융합시대에 걸맞는 주력산업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