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SW품질을 중시하는 시장 환경 조성 추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11-30
- 등록일 2012-11-30
- 권호
제14회 SW Quality Insigh 컨퍼런스에서「SW품질 강화 대책」발표
□ 지식경제부는 SW품질관리 종합 지원 도구 개발·보급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SW품질 강화 대책」을 11월 30일(금) ‘제14회 SW Quality Insight 컨퍼런스’에서 발표하였다.
○ 동 컨퍼런스는 최근 SW품질의 중요성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지식경제부 김재홍 성장동력실장을 비롯하여 국내 SW기업 임직원, 학생, 연구원 등 약 400명이 참석하였다
□ 최근「IT의 SW중심화」로 SW품질이 산업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는 최근 대기업의 공공시장 참여제한으로 중소·중견기업의 SW품질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 그러나 SW인증제도 도입, SW공학기술 확산 등 그간 정부 및 민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SW프로세스 수준 등 국내 SW품질 경쟁력은 주요국가보다 낮은 상황이다.
○ SW를 통한 국내 산업의 경쟁력 강화, 공공 정보화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 등을 위해서는 중소·중견기업의 SW품질경쟁력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며, 이에 지식경제부는「SW품질 강화 대책」을 마련하여 추진하기로 하였다.
□ 이번 대책은 SW품질 역량이 우수한 중소·중견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에 역점을 두고 2대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① 우선 SW 중소·중견기업의 품질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부지원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 개발자 및 관리자가 쉽게 시각적으로 SW를 개발하고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지원도구를 개발(SW Visualization Tool)하고, 주력산업 및 국민생활과 연계된 분야에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SW현장적용 지원사업은 국제표준이 엄격히 적용되고 高신뢰가 요구(자동차, 항공, 원자력 등)되는 분야를 중심으로 확대한다. 중소기업이 활용 가능한 SW아키텍처 참조모델의 개발과 확산도 추진하기로 하였다.
- 뿐만아니라 선진국 수준의 SW품질관리를 위한 테스트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대학IT연구센터(ITRC) 육성 사업 등을 통해 SW공학기술 연구·개발 및 고급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 국제적 품질 및 신뢰성 규격에 대한 조사·정보제공 및 국제표준 준수 활동 지원 등을 통해 해외진출도 지원할 계획이다.
②둘째 SW품질이 인정받는 시장 환경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 먼저 SP인증 심사 업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심사비를 경감하고 중소기업 대상 인증심사비 50% 지원 등을 통해 SP인증제도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 GS인증제도의 경우에도 인증획득을 위한 제품 품질 개선 컨설팅 지원과 컨설팅을 받은 중소기업 제품에 대한 GS인증 수수료 추가할인을 추진한다.
- 또한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공공정보화 사업 발주자와 PMO 대상 SW품질 교육 강화 등을 추진하여 품질 중심 발주 및 관리체계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 아울러 국가 SW R&D 과제 수행시 따라야할 품질기준을 보급·확산하기 위해 SW R&D 품질검증 기준을 마련하고 시범적으로 적용하기로 하였다.
- SW 품질인식 제고를 위해서는 R&D, 정보화 사업 등에서 SW품질을 혁신적으로 개선한 기업 및 개인을 발굴하여 SW품질 대상을 시상할 계획이다.
□ 지식경제부 김재홍 성장동력실장은
○ “다가오는 산업융합의 시대에는 SW품질이 IT산업은 물론 전산업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 “이번 SW품질 강화 대책을 계기로 SW전문가 분들도 더욱 완성도 높은 SW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달라”고 당부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