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지경부, 나노융합 확산전략”(나노 PLUS 2020)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식경제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12-04
- 등록일 2012-12-04
- 권호
□ 지식경제부(장관 : 홍석우)는 2020년까지 총 9,300억원 규모의 투자를 통해 세계 수준의 나노 강소기업 20개를 육성하고 나노융합산업 매출 2,500억달러 달성과 일자리 5만개 창출을 추진하기 위한 전략을 발표함
○ 금번 “나노융합 확산전략(나노 2020)”은 세계 1등 산업강국 도약을 비전으로 하여 유망 나노기술의 상용화 및 나노융합 확산 등의 내용이 주요 골자이며,
○ 12월 4일 오전, 지경부 김재홍 성장동력실장, 나노연구조합 이희국 이사장 등 나노분야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수원 차세대융합기술원에서 개최된 「나노융합주간 2012」개막행사에서 발표
* 나노기술은 기반기술로서 산업에 적용(PLUS)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이거나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창출하는 등 제조업 혁신의 열쇠이자 신시장 창출의 핵심 원동력
□ 지경부는 지난 10년간 2조원 이상의 정부 투자를 통해 나노분야의 기술수준이 세계 4위권으로 올라섰으나, 이를 상용화하여 산업적․경제적으로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했다고 진단하고,
○ ‘20년 2.5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글로벌 나노융합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나노융합기술의 사업화와 타산업 분야로의 확산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는 인식하에 동 전략을 수립하였다고 밝힘
□ 지경부가 이번에 발표한 “나노융합 확산전략(나노 2020)"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① 먼저, 전 산업과 융합․혁신을 촉진(romoting Nano Business)하기 위해,
○ IT․BT․ET 등 3대 융합분야를 중심으로 유망 나노기술의 상용화를 적극 추진하고, 수요기업 연계형 R&BD를 확대하며,
* 나노융합 2020 사업 확대 등을 통해 종합적 나노융합 상용화 R&BD 프로그램 운영
○ 주력산업과 나노기술의 융합 촉진을 위해 산업별 ‘나노융합 혁신 컨소시엄’을 운영하고, 나노융합 확산을 위한 지역별 거점을 육성*할 계획
* 나노인프라기관을 중심으로 지역별로 특화된 나노융합산업 육성
○ 또한 기술이전전담조직(TLO) 등을 활용하여 나노분야 공공 연구성과의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하고, 기존 소재․부품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한 나노 신소재** 개발도 추진
* 나노융합 공공연구기관 협의회 창립(12.5일)
** 예시) 투명전극소재의 원료인 산화인듐주석(ITO)을 대체하는 신소재 개발
② 둘째, 세계시장을 선도(eading Global Market)하기 위해,
○ 성장 잠재력을 갖춘 나노분야 우수 중소․중견기업을 나노전문기업으로 지정하고 ‘20년까지 20개 이상의 ’나노 자이언트‘*를 육성하며,
* 세계시장 점유율 3위 이내, 나노분야 매출액 1억달러 이상, 수출 3천만달러 이상
○ 글로벌 사업화를 위한 국제공동 R&D 및 국제표준화를 지원하고, 창의적 나노융합산업 선도인력을 양성*할 계획
* 나노분야 ‘산업융합특성화대학원’ 지정․운영 및 나노인프라기관을 활용한 현장기술인력 양성 확대 추진
③ 셋째, 생활속에서 쉽고 안전하게 나노제품을 활용(biquitous Nano Life)하기 위해,
○ 국민생활 편의성 증진을 위한 생활공감형 나노제품*의 개발을 지원하고 우수제품의 보급 확산을 추진하며,
* 예시) 휴대전자기기용 나노충전기, 바이러스 차단 나노마스크 등
○ 나노제품의 사회적 수용성을 제고하고 세계시장 진출 지원을 위해 나노제품 안전성 평가․인증 체계를 마련하고 안전성센터를 구축할 예정
④ 끝으로, 다함께 성장하는 나노 생태계 조성(ustainable Growth)을 위해,
○ 나노분야 대-중소기업간 비즈니스 협력 모델을 구축․확산하고, 나노융합 지식정보망과 통계시스템을 구축하며,
○ 나노융합산업 촉진을 위한 범부처 협의체를 구축하고, 산업화 프로모션 타워 역할을 담당할 ‘나노융합산업지원센터’를 운영할 계획
□ 동 전략을 구체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향후 8년간(‘13~’20) 약 9,300억원*의 자금이 R&D 및 산업육성에 투입될 예정이며,
* 지경부 6,500억원, 민간 및 지자체 2,800억원
○ 이를 통해, 2020년 나노융합산업분야 매출 2,500억달러(세계시장 10%)를 달성하고 일자리도 5만개 이상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나노융합주간 2012 행사 >
□ 한편, 지경부는 금년부터 「나노융합주간」행사 개최를 통해 나노융합산업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제고하고 나노기술과 타 산업간 융합을 확산하며, 나노분야 산학연 종사자들의 소통과 교류의 장을 마련키로 함
□ 이번 주간 행사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을 대표주관으로 하여 12월 4일부터 6일까지 3일간 치러지며,
○ 나노분야 관련 단체, 기구, 지자체 등에서 세부주관을 맡아 ① 네트워킹, ② 성과공유 및 확산, ③ 분과별 세미나 등 크게 세가지 분야로 나눠 전국 각지에서 12개의 크고 작은 행사가 벌어지는 등 명실상부한 나노분야 종사자들의 소통과 축제의 장이 될 전망
* 나노융합주간 세부 행사계획은 별첨 참조
□ 12월 4일,「나노융합주간 2012」개막식에서 진행된 유공자 포상에서는 나노잉크, 나노섬유 등 우수나노제품 개발을 통해 나노융합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주)아모그린텍 송용설 부사장이 지식경제부 장관상을 수상하였으며,
○ 전자부품연구원 조진우 센터장(산업기술평가관리원장상), 생산기술연구원 이종호 수석연구원(생산기술연구원장상), 위델소재 신선호 대표(전자부품연구원장상), 제이피이 김의중 대표(기계연구원장상) 등이 우수기술개발 및 나노융합산업발전 기여 등의 공로로 나노분야 유관기관장상을 수상
□ 또한 나노융합기업과 산단 내 입주기업 간 교류․협력 및 수요․공급을 증진하여 나노융합산업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과 산업단지관리공단 간 협력 MOU*도 체결함
* 체결권자 : 나노융합산업연구조합 이희국 이사장 - 산업단지관리공단 김경수 이사장
□ 개막행사의 2부 세션에서는 지경부의 “나노융합 확산전략” 발표와 함께, 서울대 한민구 교수가 “2020년 나노기술의 이슈와 전망”이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였으며,
○ 이어 전북대 김학용 교수가 “나노융합 신기술과 일자리 창출”을 주제로, 서울대 차세대융합기술원 윤의준 원장이 “융합기술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강연을 실시함
□ 한편, 지식경제부 김재홍 성장동력실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주춤하고 있는 국내 제조업이 혁신을 통해 재도약하고, 세계 일류 산업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해 나노기술과의 융합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이를 위해 정부도 나노기술의 상용화와 전 산업으로의 융합 확산에 정책적인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