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

단신동향

국내단신

교과부,「2012년 융합인재교육(STEAM) 학술대회」 개최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교육과학기술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2-12-07
  • 등록일 2012-12-07
  • 권호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강혜련)은 「2012년 융합인재교육(이하 STEAM) 학술대회」를 12.7(금) 10시부터 17시까지 워커힐 호텔(무궁화홀2)에서 개최한다.

○ 「STEAM 학술대회」는 3개의 기조강연, 6개의 구두 발표, 약 70개의 포스터 발표로 이루어지며, STEAM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대하여 현장 교원과 학계가 상호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STEAM 교육은 기존 이론 중심의 수학·과학교육에 기술, 공학, 예술을 연계하여 교육함으로써 창의성과 실생활문제 해결능력을 갖춘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정책이다.

○ ’12년에는 80개 STEAM 리더스쿨, 170개 STEAM 교사연구회, 32개 미래형 과학교실, 약 3만명이 참여한 체계적 교원연수, STEAM 프로그램 개발·보급 등을 통해 현장 확산에 노력하고 있다. 

○ 한편, 각종 사업 위주로 추진되어 오던 STEAM 교육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내용적(과목간) 융합, 방법론적(교수학습) 융합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현장 확산과 지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학문적 토대를 구축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 학술대회를 통해 소개될 기조강연을 미리 살펴보면,

○ 과학창의재단 융합교육정책실장은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 연구, 실천”이라는 강연을 통해 STEAM 교육의 추진현황을 공유하고, “STEAM 교육의 효과성 분석 연구” 결과를 소개할 예정이다.

○ 런던과학관의 카렌 데이비스(Karen Davies)와 NASA 항공우주교육프로젝트의 레스터 모레스(Lester Morales)는 영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STEM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각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과 현장 적용 결과를 제시할 예정이다.


□ 구두발표는 6개 후원 학회의 추천을 받은 전문가들의 연구 결과물로, 「STEAM 학습 평가 모형개발」, 「4C-STEAM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이슈와 제한점」, 「STEAM 교육의 현황과 과제」, 「기술 교과의 T-STEAM 프로그램 개발 사례」, 「초중등 공학교육 강화방안」, 「창의적 인간과 창조적 인간 그리고 융합교육」 등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될 계획이다.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기술교육학회, 한국공학교육학회, 한국수학교육학회, 한국예술교육학회 및 현장과학교육학회 등 과학교육과 관련된 6개 학회가 후원하는 이번 「STEAM 학술대회」는

○ STEAM 교육 관련 교사 및 과학기술계·교육계 전문가가 모여 STEAM 교육의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첫 번째 자리로 미래 교육의 방향을 논의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융합인재교육(STEAM) 관련 학계의 이론과 실제 현장을 연결하는 장을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