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신동향
국내단신
기재부, 미래 IT통신 인프라 구축사업(Giga Korea)의 힘찬 시동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기획재정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2-12-07
- 등록일 2012-12-07
- 권호
□ 총 사업비 5천억원대에 달하는 메가톤급 연구개발 사업인 기가 코리아 사업이 내년부터 힘차게 추진될 예정
○ 기가코리아 사업은 우리나라의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를 기가급(Gbps) 이상으로 향상시키고 차세대 단말기․SW․플랫폼․콘텐츠 등을 개발하는 사업으로 지난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여 내년도 예산안에 130억원이 편성됨
□ 기존 IT분야 R&D 사업이 단기적인 상용화에 집중하는 것과 달리 기가코리아 사업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초ㆍ원천분야부터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IT분야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하고자 하는 것임
○ 이는 최근 유럽 재정위기 등 국내외 어려운 경제여건 하에서도 신성장 동력의 선제적인 발굴과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장기적인 투자를 지속하기 위한 것임
□ 현재 LTE보다 50배 빠른 기가급 무선통신환경을 구축하고, 네트워크(N), 단말(T), 플랫폼(P), 콘텐츠(C)에 이르는 IT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기술개발을 추진하여 IT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국가 산업발전을 선도할 계획
○ (네트워크 분야) 현재의 LTE(개인당 100Mbps급)보다 50배 빠른 기가급 이동통신 서비스(개인당 1Gbps) 제공
- 스포츠 행사, 공연, 기념일 등 모바일 트래픽 폭주 상황에서도 통신장애가 없는 이동통신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개발
○ (단말 분야) 현재보다 처리능력 10배, 저장능력 1,000배 향상
- 현재보다 10배 빠른 모바일 프로세서 기술개발
- 현재의 기가(109)급 저장장치에서 1,000배 큰 테라(1012)급 초고속·대용량·저전력 모바일 저장장치 개발 등
○ (플랫폼 분야) 대용량 데이터 처리속도를 1,000배 향상시켜 대용량 실감 미디어를 처리하는 고품질 미디어서비스를 제공
- 대규모 컴퓨팅 수요, 홀로그램등 대용량 데이터처리를 위한 엑사급(1018, PC 5억대 규모) 대규모 고성능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개발
○ (콘텐츠 분야) 현실과 거의 유사한 고품질 입체형 콘텐츠를 활용한 공연, 스포츠, 게임 등 실감형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
- 수백만명 이상이 언제, 어디서나 끊김없이 즐길 수 있는 실시간 양방향 실감서비스를 위한 미래 콘텐츠 개발
□ 기가코리아 사업은 68조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1.6만명의 고용창출 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 예비타당성 조사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조사·분석결과
○ 스마트 IT기술이 의료, 국방, 교육,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어 새로운 융합산업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
○ 또한, 개인 맞춤형 실감서비스 제공을 비롯하여 스마트 교육․의료, 생활밀착형 서비스 등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